주식 이야기

[통계청] 2021년 가구 순자산 핵심은 '수도권 부동산'

경알못과 투알못의 기록물 2022. 7. 24. 15:05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 

우리나라 전체 자산이자 국부를 의미하는 국민순자산은 2021년말 기준 1경 9,808조 8,000억 원. 

이는 전년말 1경 777,8조 9,000억 원에 비해 11.4% 증가한 수치다.

실물자산인 비금융자산은 1경 9,027조 원으로 10.3% 증가, 

순금융자산은 782조 원으로 47.5% 증가했다. 

전년 대비 순금융자산의 증가율이 훨씬 높지만, 규모는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이 압도적이다. 

 

 

 

 

국민순자산의 규모나 증감내역을 보면 '토지자산'의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토지자산을 따로 떼어서 보면

 

 

 

 

과거부터 토지자산의 증감율은 차이가 있지만 항상 (+)를 유지한다.

현재도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GDP증가율에 비해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지

나라가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토지의 가치가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토지자산 및 증감률 추이.

2010년 수도권 비중이 61.7%에서 2017년 56.6%까지 하락하다가 문재인 정권인 2018년부터 추세 전환.

한번의 반등 없이 꾸준히 하락하던 수도권 비중이 2018년 56.9%으로 반등해서 2020년 58.6%까지 상승.

우측 증감율을 보더라도 2010년 이후 비수도권의 증감율이 수도권보다 항상 높다가

2018년을 기점으로 수도권 토지자산 증감율이 더 높아져 2020년에는 2배 정도의 격차가 났다. 

 

 

 

 

 

시도별 토지자산 규모 및 비중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가 압도적이며 

2021년 중 국민순자산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자산가격 변동 등 거래외요인 때문이다. 

인구가 감소한다고 해도 내년에 당장 일어나는 일은 아니며, 이민 등 정책적인 요인으로 보완될 수 있다. 

또한 인구 감소가 진행되는 장기간 동안 오히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GDP가 꾸준히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수도권 토지는 자산의 중요한 한 축이 될 수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비중을 보면 2021년에도 여전히 부동산 비중이 75%로 압도적이다.

주택 52.6% + 주택 외 부동산 22.7% = 부동산 75.3%.

 

 

 

 

 

[NH투자증권]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2022년 4월 발행한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기초통계는 2021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대상은 총 18,187건의 데이터 중 상위 1%인 182건, 조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Credit Suisse] 2021 세계 부(富) 보고서 (Global Wealth Report)

국제 투자은행인 크레디트 스위스가 발간한 '2021 글로벌 자산 보고서' 내용 중 일부. 2020년 총 글로벌 자산은 7.4% 증가했고, 성인 1인당 자산은 6% 증가하여 최고치인 $79,952를 기록했다. (약 9,100만

for-economicfreedo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