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전력 주가

(4)
[한국전력] 탈원전으로 인상될 전기요금은 얼마일까? “탈원전으로 국민이 더 내야할 전기요금 20년간 283조원” LNG 발전 늘어 2040년까지 발생하는 추가 비용 102조원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탈(脫)원전 정책으로 앞으로 20년 동안 추가로 국민이 부담해.. biz.chosun.com 오늘(4월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이라는 토론회가 열렸다. 이곳에서 탈원전의 법적,행정적 논란과 탈원전으로 인해 국민들이 더 내야할 전기요금에 대한 분석이 나왔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신한울 3, 4호기의 발전사업 허가는 한국수력원자력이 받았는데, 정부가 타당하지 않은 근거로 이를 백지화시켰고, 이는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국가 에너지 정책의 최상위 개념인 에너지 기본계획에 신재생 에..
[한국전력] 유가 폭락을 반기는 기업 오늘 OPEC과(석유수출국기구, 사우디아라비아 중심) 비OPEC국가들(러시아 중심)의 글로벌 '감산 동맹'이 막을 내렸다는 기사가 나왔다. ('유가 폭락 지옥문' 검색) 모두들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증산에 들어갈 준비가 끝난 것처럼 보인다.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는 4월부터 가능한 최대 생산량 수준인 일일 1,200만배럴까지 생산을 늘릴 것이라고 발표하였고, 러시아 재무부도 유가가 배럴당 30달러 근처라해도 6~10년은 버틸 수 있다면서 물러설 생각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시장에서 주목하는 점은 증산으로 인한 공급의 증가로 유가가 급락하고 있는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수요까지 급감하고 있어서 이것이 장기화될지 여부이다. 그렇다면 몇 가지로 나눠서 간단히 분석을 해보자. 1. 낮은 유가 수준이 장..
[한국전력]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 포인트 유가가 폭락하길래 이와 관련한 수혜주인 한국전력의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 요인을 알아보았다. 1. 투자 포인트 1) 유가 급락 기사에서도 많이 접하듯 현재 OPEC과 러시아의 감산 합의가 실패하면서 유가가 폭락을 하였다. 이미 포스팅한 내용에서 언급했듯 현재 지속적으로 지켜봐야할 내용 중 하나가 미국의 에너지 업체들의 파산 여부이다. 유가가 30달러 수준 혹은 그 이하가 계속 유지될 경우 이 파산 관련 위험은 커질 것이다. (연준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설상가상으로 현재 전 세계에 급속도로 퍼지는 바이러스로 인해 수요까지 급락해 아무리 미국이 비축유 매입을 통해 유가를 끌어올린다고 해도 단기적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보인다. 한국전력 실적에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인 유가의 하락은 매력적인 투자 포인..
[한국전력] 적자기업의 낮은 PBR 한국전력하면 저PBR로 유명한 종목이다. PBR이란 주가 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을 뜻하고,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주당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최악의 경우 회사가 망하고 나면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 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인데, 이 순자산이 많은 회사는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할 수 있다. PBR은 주가/주당 순자산으로 구하는데 주당 순자산은 자본총계/발행 주식 수로 구한다. 우리는 회계사가 아니니까 하나하나 구하지 말고 이미 구해진 자본총계를 이용하여 계산해보자. (지배 부분을 자른 자료인데 별 차이 없으니 그냥 계산함) 69조원(자본총계)/641,964,077(발행 주식 수)=107,900원(주당 순자산) PBR=19,000원(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