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DC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 인수

(3)
[HDC현대산업개발] 매몰비용의 개념과 합리적 의사결정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조건에 대해 원점 재검토를 요청했다는 소식이 나왔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의지는 분명히 있지만 상황이 바뀐 만큼 다시 협상을 하자는 내용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진정한 의도는 무엇일까? 경제학에서 쓰이는 '매몰비용'이라는 용어의 개념과 이를 적용하여 어떤 판단을 내리는 것이 합리적인지 알아보자. 미시경제학의 생산자이론에서는 여러 비용들의 개념을 구분하는데, 그 중 매몰비용이라는 것이 있다. '매몰비용'은 일단 지출된 후 어떤 방법으로든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sunk cost)을 의미하는데, 이는 명백하게 지출된 비용이기는 하지만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 비용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고정비용이라고 부르는 것 중 매몰비용의 성격을 갖는 것들이 많..
[아시아나항공] 승자의 저주 아니거든? 지난 포스팅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승자의 저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작성하였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그 당시 대부분의 의견이 그랬다. 많은 증권사들에서도 우려 섞인 리포트들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한 증권사에서 '승자의 저주를 피해갈 3가지 이유'라는 리포트를 작성하였다. 굉장히 장밋빛으로 리포트가 작성되었는데 그 내용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따라서 제목을 그 증권사가 주장하는 바처럼 적어보았다. 물론 동의는 하지 않는 내용들이다. 한 증권사가 주장한 '승자의 저주를 피해갈 3가지 이유'를 알아보자. 1. 재무구조 개선이 가져올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계약 체결 시 2.2조원이 유상증자를 통해 아시아나항공의 자본으로 유입이 된다. 이 때의 부채비율은 약 256%로 하락해 증자 ..
공정거래위원회의 역할 어제(4월 3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해 승인을 하였다. ('공정위 HDC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 검색) 공정위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왜 공정위가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승인하였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어떤 기업이 독과점적 지위를 악용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거래행위를 할 때 '불공정거래'를 했다고 말한다. 허위과장 광고부터해서 하도급업체로의 비용 전가 등 수많은 사례들이 존재한다. 시장경제체제에서는 기업들 사이에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질 때 사회후생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세계 각국 정부들처럼 우리나라는 지난 1980년부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통해 불공정거래 행위를 규제해왔는데, 이 공정거래법의 집행을 담당하는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