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
우리나라 전체 자산이자 국부를 의미하는 국민순자산은 2021년말 기준 1경 9,808조 8,000억 원.
이는 전년말 1경 777,8조 9,000억 원에 비해 11.4% 증가한 수치다.
실물자산인 비금융자산은 1경 9,027조 원으로 10.3% 증가,
순금융자산은 782조 원으로 47.5% 증가했다.
전년 대비 순금융자산의 증가율이 훨씬 높지만, 규모는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이 압도적이다.
국민순자산의 규모나 증감내역을 보면 '토지자산'의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토지자산을 따로 떼어서 보면
과거부터 토지자산의 증감율은 차이가 있지만 항상 (+)를 유지한다.
현재도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GDP증가율에 비해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지
나라가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토지의 가치가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토지자산 및 증감률 추이.
2010년 수도권 비중이 61.7%에서 2017년 56.6%까지 하락하다가 문재인 정권인 2018년부터 추세 전환.
한번의 반등 없이 꾸준히 하락하던 수도권 비중이 2018년 56.9%으로 반등해서 2020년 58.6%까지 상승.
우측 증감율을 보더라도 2010년 이후 비수도권의 증감율이 수도권보다 항상 높다가
2018년을 기점으로 수도권 토지자산 증감율이 더 높아져 2020년에는 2배 정도의 격차가 났다.
시도별 토지자산 규모 및 비중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가 압도적이며
2021년 중 국민순자산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자산가격 변동 등 거래외요인 때문이다.
인구가 감소한다고 해도 내년에 당장 일어나는 일은 아니며, 이민 등 정책적인 요인으로 보완될 수 있다.
또한 인구 감소가 진행되는 장기간 동안 오히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GDP가 꾸준히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수도권 토지는 자산의 중요한 한 축이 될 수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비중을 보면 2021년에도 여전히 부동산 비중이 75%로 압도적이다.
주택 52.6% + 주택 외 부동산 22.7% = 부동산 75.3%.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빗켐] 성일하이텍에 이어 흥행 성공, 다른 폐배터리 관련주는? (2) | 2022.07.26 |
---|---|
7월 1~2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오스템임플란트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 발표 (2) | 2022.07.25 |
[성일하이텍] 환매청구권 정의, 대상, 행사가능기간, 조정가격 예시 (2) | 2022.07.20 |
7월 1~1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덴티움 급락) (0) | 2022.07.11 |
6월 라면 수출 데이터, 2Q 매출액 컨센서스 상회 예상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