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테러범과 절대 협상하지 않는 이스라엘

게임이론에서의 게임(game)은 둘 이상의 경제주체가 상호 연관관계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으나 어느 누구도 그 결과를 마음대로 좌우할 수 없는 경쟁적 상황을 뜻한다. 게임을 구성하는 요소는 참여자(player), 전략(strategy), 보수(=수익,보상 payoff) 등이며, 이와 같은 요소들이 어떤 조합으로 주어져 있느냐에 따라 게임의 특성이 결정된다. 2005년 노벨 경제학상은 로버트 오먼(Robert John Aumann)과 토머스 셸링(Thomas Crombie Schelling)이 수상하였다. 이 분들이 누군지궁금하시면 검색해보시길 바란다. 

 

당시 노벨 경제학상의 수상 이유는 게임이론 확립에 대한 기여도 때문이었다. 게임이론은 사회 및 경제 현상에 나타나는 갈등과 협력예리하게 분석하는데, 우리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더 주목받고 있는 게임이론을 간단하고 흥미로운 예로 알아보자.

 

이스라엘의 헌법에는 비행기 납치범과 협상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이스라엘은 '불문헌법'으로, 독립된 하나의 문서로서의 헌법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법률과 문서, 관습 등이 총체적으로 합쳐져서 통치질서를 구성하고 있다. (혹시나 이스라엘에는 성문화된 헌법이 없다는 분이 계실까봐 작성)

 

다시 돌아와서 이스라엘이 비행기 납치범과 협상할 수 없다는 조항을 헌법에 넣은 이유는 무엇일까? 토머스 셸링은 납치범(테러범도 마찬가지)과의 극단적인 협상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라고 하였다. 즉,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는 '공약'(commitment)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까지 더욱 좁게 만들어 버리라는 것이다. 이 '공약' 개념은 계약이론의 핵심 논리이자 현대 경제학에서 중시되고 있는 개념이다. 

 

내가 납치범이라고 가정해보자. 이스라엘 정부와 협상하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비행기를 납치하였는데이스라엘은 헌법에 명시(공약)해놓은 그대로 협상을 아예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는 이스라엘 정부와는 협상이 불가능하고 비행기 내에 있는 승객들과 협상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나는 이스라엘 비행기를 납치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사실상 없다. (대신 위험은 크게 진다) 만약 이스라엘 정부와 어떠한 협상을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비행기 납치(테러)만큼은 목록에서 제외를 시켜야한다. 

 

하지만 반대로 이스라엘 정부가 어떤 경우에는 협상을 하고, 어떤 경우에는 단호하게 협상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해보자. 몇 차례라도 협상을 한 전례가 있으면 납치범들은 그 경우를 분석하여 비행기 납치를 시도하려 할 것이다. 이렇게 특정 상황에 대한 공약을 미리 만들면 이를 가지고 다른 협상이 불가능해지는 강력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