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곡렉슬
3,002세대, 2006년 1월 입주, 33B 기준
부동산 시장이 활황일 때 입주
8억 원 대 한 건 찍혀있는 특수거래 제외 시, 06~07년 사이 11~14억 원 시세 형성, 평균 12.5억 원.
하락기를 지나 침체기였던 12~13년 동일 평수 거래는 9~10억 원, 평균 9.5억 원.
평수에 따라 다르지만 33B평형은 5~6년간 평균 25% 정도 하락한 시세 유지.
현재는 부동산 하락기에 있다는 지난달 실거래가 기준 29.9억 원.
2. 타워팰리스 1차
1,294세대, 2002년 10월 입주, 66B 기준
06~07년 2년간 시세는 23.5~28억 원까지 상승, 평균 25.5억 원, 최고 시세 28억 원.
부동산 가격이 꺾이기 시작한 08~09년 동일 평수 고층이 2회 18억 원대 기록.
몇 년 간 최고 시세였던 28억 원 대비 35%이상 하락.
최근 2년간 동일 평수 시세는 32.5~43.5억 원까지 꾸준히 상승.
3. 은마아파트
4,424세대, 1979년 08월 입주, 30평형
재건축 투자 수요가 많은 은마아파트의 30평 06~07년 평균 시세는 11억 원.
1년 만인 08년 7~8억 원으로 하락, 8억 원으로 잡아도 하락률은 27% 이상. 7억 원이면 36% 이상.
동일 평수 최근 시세는 24~25억 원.
4. 잠실 엘스
5,678세대, 2008년 9월 입주, 33B 기준
부동산 침체기에 입주, 33평형이 8~10억 원, 평균 9억 원 미만에 거래.
최근 시세는 24억 원 안팎.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에 향후 10년, 20년 뒤 서울 부동산 가격은 지금보다 낮다'라는 주장만큼
'부동산 하락기에도 수요자 선호 아파트는 하락하지 않는다'는 주장 역시 터무니없는 소리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전세' 및 세입자가 도리어 월세를 받는 '역월세' 사례 (5) | 2022.11.09 |
---|---|
하락장 속 공시지가 수준으로 하락한 실거래가 사례(잠실 엘스, 레이크팰리스, 고덕 그라시움, 아르테온) (4) | 2022.11.06 |
서울 랜드마크 주상복합 아파트 신고가, 그 배경은? (0) | 2022.07.02 |
서울 25개구 아파트 평균 평당가 순위 (0) | 2022.06.01 |
변화 중인 광진구의 대통령 선거, 서울시장 선거 득표율 (2)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