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아일랜드 대기근과 기펜재(Giffen good)

 

 

아일랜드 대기근(The Great Hunger 혹은 Great Famine)은

1847년에 발생해 800여만 명의 아일랜드 인구 중

200여만 명이 사망하고 200여만 명이 해외로 이주하여 아일랜드의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한 사건이다.

이 대기근은 19세기에 발생한 인류 최대의 재앙으로 기록되고 있다.

흔히 대기근의 원인이 '감자역병(감자에 발생하는 병해)'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대기근에 책임이 있는 영국의 역사 날조에 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아일랜드인들은 지금도 영국인에게 뿌리 깊은 악감정을 가지고 있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1845년 어느 시점부터 아일랜드 전역에 감자역병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인들의 주식이었던 감자가 없어지자 이들은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이 감자역병은 중요한 요인이 아닌 지극히 일부 요인이었다.

사실 대기근의 원인은 영국인 지주들의 착취 때문이었다.

당시 아일랜드에는 밀과 옥수수 등 각종 곡식이 많이 자랐으나

수확하는대로 영국으로 보내져서 아일랜드인들은 먹을 것이 없었다.

결국 광범위하게 재배되던 감자만이 남아있었는데 감자역병으로 인해 아예 먹을 것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경제학에는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이라는 것이 있다.

쉽게 표현하면 '가격 상승 시 수요량 감소, 가격 하락 시 수요량 증가'의 법칙인데,

이 법칙의 예외 중 하나로 언급되는 것이 '기펜재(Giffen goods)'이다.

즉, 가격 하락 시 수요량도 감소, 가격 상승 시 수요량도 상승한다는 것인데

그 예시의 배경이 바로 대기근 당시의 아일랜드이다.

기펜재는 이것을 연구한 19세기 통계학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당시 그의 연구가 엄밀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지만 그 내용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아일랜드가 몹시 가난해졌을 때 감자 가격이 상승하면

아일랜드인들이 감자를 더 많이 소비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수요의 법칙과 다르게 아일랜드의 감자 수요곡선은 우상향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감자를 '열등재(Inferior good)'라고 가정해야 성립하는 이론인데

먼저 열등재의 개념부터 간단히 말하면 다음과 같다.

'소득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수요량이 감소(증가)하는 재화'가 그 정의.

이는 '정상재(Normal good)'와 반대의 특성을 가진 재화다.

보통의 경우 소득이 증가하면 재화의 수요량도 증가하기 마련인데,

가난한 시절의 가난한 사람들이 소비하는 재화를 예로 들어보면 이해가 쉽다.

라면은 국민 음식이지만 이분법적으로 소고기와 비교 시,

사람들의 소득이 늘면 그 수요가 감소하는 음식이다.

반대로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나면 소고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한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의 라면은 열등재라 할 수 있다. 다시 당시의 아일랜드 상황으로 돌아가보자.

아일랜드인들에게 감자는 주식이었지만 이는 가난했기에 소비한 '열등재'일 뿐이었다.

이때 감자의 가격이 상승한다고 가정해보자.

다른 조건이 같다면 감자의 가격만 상승했기에 다른 재화로 소비를 대체할 것이다. (대체효과)

하지만 다른 조건이 같지 않다. 감자 가격이 더 높아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 가난해지고(소득효과),

감자는 열등재이기 때문에 감자에 대한 수요가 더 증가한다. 

 

 

 

 

가격효과를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로 나눠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가격효과=대체효과+소득효과)

위 설명에서 감자 가격이 높아졌다고 했는데

이는 다른 재화로 소비를 대체하는 '대체효과' 측면의 해석이고,

감자 가격이 상승해서 사람들은 더 가난해졌다는 것은 '소득효과' 측면의 해석이다.

기펜재가 성립하려면 이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능가해야하고

이 경우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를 능가한다.

참고로 위 그래프는 X재화의 가격이 하락했을 경우를 가정했기 때문에

감자 가격이 상승한 경우는 그래프를 반대로 그려서 분석해야 한다.

(감자를 X라 가정 시, X축의 M/Px'이 원점 방향의 M/Px으로 가야한다는 뜻)

 

 

위에서 언급했듯 이 연구의 정밀성에 대해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만약 이 연구가 정밀하게 진행되었다고 할지라도

사실 현실에서는 접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이야기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