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72의 법칙'과 주식 양도소득세의 효과

72의 법칙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그와 관련하여 '금융세제 선진화' 명목으로 신설 예정인 주식 양도소득세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72의 법칙에 따르면 어느 변수가 매년 x% 성장할 경우 약 72/x%년 후에는 그 변수의 값이 두 배가 된다. 즉, 복리를 전제로 자산이 두 배가 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72를 해당 수익률로 나눌 경우 원금의 두 배가 되는 기간이 산출되고, 72를 기간으로 나눌 경우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수익률이 산출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72가 아닌 70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한 나라의 경제 성장에 적용시켜보자. 한 나라의 GDP가 8년 안에 2배로 성장하려면 매년 어느 정도로 성장해야 할까? 72의 법칙을 적용해보면 72/8=9%가 나온다. 즉, 매년 9%씩 8년 동안 성장하면 GDP는 2배로 커질 수 있다. 

 

이는 한 나라의 경제 성장 뿐 아니라 개인의 저축 증가에도 적용되는 법칙이다. 1,000만 원을 은행에 예금하는 경우와 주식 투자를 하는 경우를 비교해보자.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예금 금리가 1.25%라고 할 때, 1,000만 원이 두 배인 2,000만 원이 되기 위해서는 약 57년이 걸린다. (72/1.25=57.6) 만약 우리가 주식 투자를 잘해서 연 평균 10%의 수익을 내고 이를 꾸준히 재투자할 경우는 어떻게 될까? 1,000만 원이 두 배가 되기 위해서는 약 7년이 걸린다. (72/10=7.2) 1,000만 원과 2,000만 원의 차이인 1,000만 원은 누군가의 인생을 바꿀 수 있을 정도로 큰 돈은 아니지만 57년과 7년은 엄청난 차이다. 즉, 금액이 1,000만 원이 아닌 1억, 혹은 그 이상이라면 이는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정도의 기간이라는 뜻이다. 7년 동안 기복 없이 10% 이상의 수익을 거두는 것은 쉬워보이지만 종목이 아닌 계좌 전체로 보았을 때는 결코 쉽지 않다. 그리고 저금리 상태가 오랜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현재 목돈을 마련하기 위한 우리에게 주식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금융세제 선진화 방안(주식 양도세 신설)의 문제점

기획재정부에서 '금융투자 활성화 및 과세합리화를 위한 금융세제 선진화 추진 방향'에 관한 자료를 내놓았다. 큰 틀에서의 결론은 금융세제 선진화의 방향인 '양도소득세 신설 및 거래세 인하'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금융세제 선진화에 나와있는 내용을 다시 한 번 보자. 우선 수익에 대해서는 매달 세금을 거두고, 그 해 전체 결산을 해보았을 때 최종 수익이 비과세 기준인 2,000만 원을 넘지 않았을 때에는 다음 해 5월 환급을 해준다고 한다. 이 속에 숨어있는 내용은 무엇일까? 수익에 대해서는 연 단위도 아닌 월 단위로 복리 효과를 없애면서 징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환급은 그 기간도 다음 해 5월로 어처구니가 없지만, 어떠한 이자도 없이 연 단위로 돌려준다는 것이다. 즉, 수익에 대해서는 월 단위로 복리 효과를 없애고, 환급은 월 단위가 아닌 연 단위로 어떠한 이자 지급이 없다. 72의 법칙을 계산할 때는 '복리를 전제로' 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개편안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자금을 만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훨씬 늘어남을 의미한다. 양도소득세는 둘째 치고 월 단위의 징수는 정말 황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