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은행제도의 기원은?

 

은행제도의 기원 무엇일까?

 

과거 금 세공업자들 사이 행해지던 방식이 현대 은행제도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귀중한 금을 스스로 보관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금고를 가진 금 세공업자에게 금을 맡기고 보관증을 받았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팔 때 금이 오갔지만, 보관증만 주고받으면 더 편리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종이에 불과한 보관증으로 거래를 하며, 이 보관증이 오늘날 지폐나 수표와 같은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금 세공업자의 금고에는 항상 사람들이 맡긴 금으로 가득차 있었다. 금을 맡긴 사람들이 여러 이유로 가끔씩 찾아가기는 했지만 한 번에 몰려와 모든 금을 다 찾아가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맡기고, 찾아가고 했는데 찾아가는 사람보다 맡기는 사람이 더 많으면 자연스레 금고는 금으로 가득차게 된다. 그러자 금 세공업자는 자신이 발행한 보관증만큼의 금을 꼭 보유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어차피 금고 속에 보관되어 있을 금이라면, 금을 원하는 사람에게 빌려주고 수수료를 받는 아이디어도 떠올렸다. 여기에 추가로, 금을 빌리려는 사람에게 직접 금으로 빌려줄 필요가 없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듯, 금을 보관하고 있다는 보관증만 만들어 주면 똑같은 효과를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금 세공업자들은 이러한 아이디어로 상당한 이득을 얻었으며, 본업인 금 세공업을 통해 버는 수입보다 금을 빌려주고 받는 수수료 수입이 더 큰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우는 아예 본업을 바꾸는 경우까지 나오게 되었다. 더욱 많은 수수료 수입을 얻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금을 많이 맡아두고 있어야 했다. 따라서 예전에는 금을 보관해 주는 대가로 요금을 받았는데, 이제는 오히려 금을 맡기는 사람에게 소정의 사례를 해주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오늘날 은행과 비교해보면 어떤가? 위에 말한 단계까지 진행된 것을 보면 오늘날의 은행과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금을 맡긴 사람들은 고객이고 금 세공업자는 은행의 역할이다. 금을 원하는 사람에게 빌려주고 수수료를 받는 것은 대출을 해주고 대출 이자를 받는 것이다. 그리고 금을 맡기는 사람에게 소정의 사례를 해주는 것은 예금한 사람에게 예금 이자를 주는 것이다. 또한 금 전체에 대해 그와 동일한 만큼의 지급준비를 해두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지급준비를 한 뒤 나머지는 금을 필요로 한 사람들에게 빌려주는 행위는 현대 은행업이 예금의 일부만 지급준비를 한 뒤 나머지는 대출자금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다.

 

물론 현대식 은행과 그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금 세공업자들의 행위는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행위라 볼 수 있지만 문제가 있다. 맡긴 금이 10톤이라고 가정 시, 약 5톤만 남기고(단순 가정) 나머지 5톤은 금을 원하는 사람에게 빌려주고 수수료(대출 이자)를 받았는데, 극단의 경우 10톤의 금을 맡긴 사람들이 동시에 찾아와 본인들의 금을 요구하는 경우는? 이 경우 금 세공업자는 고객들이 맡긴 금을 그 자리에서 줄 수가 없다. 현대식 은행에 적용할 경우 이를 '뱅크런'이라고 부른다. 이 '뱅크런'은 다음 포스팅에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