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305)
2021 증권주 및 은행주 투자 포인트 점검 이베스트투자증권에서 2021년 금융업종 투자 포인트에 대한 보고서를 냈다. 보험업종은 관심이 없기 때문에 은행과 증권업종에 관한 내용만 작성한다. 먼저 은행주 투자포인트는 고배당, 순이자마진(NIM) 안정이고, 리스크는 대손비용의 확대 가능성, 금융지원(공공) 지속 우려다. 보고서에는 금융주 중 은행주를 가장 좋게 봤는데, 개인적으로는 증권주가 더 매력있지 않나 생각한다. 특히, 이베스트에서 Top Pick으로 선정한 KB금융과 한국금융지주 기준이면 더욱 그렇다. 2021년 금융주는 상고하저의 흐름이 예상되는데, 상반기가 하반기에 비해 경기지표 개선 폭이 클 것이기 때문이다. 순이자마진(NIM)의 기술적 반등 역시 상반기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로 갈수록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에 따른 비용부담이 증..
[DL이앤씨] 재상장하는 대림산업의 목표주가는? 그동안 거래정지 상태였던 대림산업이 인적, 물적 분할 후 내일 재상장한다. 존속회사 DL과 신설회사 DL이앤씨(DL E&C)로 재상장하는데, DL 아래 비상장으로 화학 부문을 담당하는 DL케미칼이 있다. 쉽게 말해, 기존의 화학+건설의 대림산업이 화학(DL)과 건설(DL이앤씨)로 나눠졌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내일 시초가부터 갭상승할 것 같아, 분할 후 주가 재평가를 노린 기존 투자자들에게 장기간 거래정지에 대한 보상이 이뤄질 것 같다. 화학은 관심이 없기 때문에, 하나금융, 한화, 메리츠 보고서를 통해 증권사에서 평가하는 DL이앤씨 기업의 가치만 알아보았다. 분할 비율을 고려한 분할 시점(2020.12.28)의 DL이앤씨 시가총액은 1조 6천억 원, DL이앤씨의 2021 추정 지..
미국 핀테크 기업 SoFi 상장 및 국내 기관 투자자 [시그널]美 핀테크 유니콘 '소파이' 상장에...국내 투자자 수익 ‘두 배’ 미국 핀테크업체 소파이(SoFi) 대출 현황/출처:소파이 홈페이지미국 핀테크 유니콘 기업 ‘소파이(SoFi)’가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과 합병을 통한 상장을 결정한 가운데 초기 투자에 참여한 www.sedaily.com 핀테크 기업인 소파이(SoFi)는 스탠퍼드, 하버드, 노스웨스턴, MIT등 미국 주요 대학에서 학자금 대출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리고 현재는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자산관리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중이다. 소파이는 미국 핀테크 스타트업 중 가장 많은 외부 투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소프트뱅크와 카타르투자청, 페이팔 창업자 등 글로벌 투자자들이 약 3조원가량 투자했다. 소파이 홈페이지에..
[은행주] 2층으로 한 단계(?) 더 올라가는 은행들 40대 명퇴받고 임대료 싼 2층으로... 은행들 눈물겨운 몸집 줄이기 www.chosun.com 오프라인 거래에서 온라인 거래로 바뀌는 시대에 맞게 시중은행 역시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점포 수 줄이기, 직원 수 줄이기, 임대료 줄이기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은행은 VG(Value Group)를 시행 중인데, 이는 거점 점포 하나와 주변 4~8개의 영업점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제도다. 관리의 효율성 측면에서 볼 수도 있지만, 통합 관리는 사실상 점포 통폐합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온라인 거래의 확대와 함께 오프라인 점포 수를 줄이는 것은 시대의 흐름이지만, 동시에 이전 혹은 신규 개업하는 점포 상당수가 2층 이상에 위치한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과거에는 은행 점포가..
[SK바이오팜] 기관 보유 최대 물량 보호예수 기간 종료 SK바이오팜의 최대주주인 SK의 보통주 58,734,940주 보호예수 기간이 2021년 1월 1일자로 종료된다. 이 물량은 2021년 첫 거래일인 1월 4일 시장에 쏟아질 수 있는데, 최대주주의 물량이기 때문에 일부만, 혹은 아예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긍정적으로 생각해 이 부분은 걱정하지 않는다고 해도, 공모주를 받은 기관의 또 다른 물량 보호예수 기간도 종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신경써야 할 것 같다. 예전 작성 글에 있는 것을 그대로 가져왔는데, 신경써야 할 부분은 체크한 '3개월 확약' 위에 있는 '6개월 확약' 물량이다. SK바이오팜의 상장일은 2020년 7월 2일이므로, 6개월 의무 보유 기간이 끝나는 첫 거래일은 2021년 1월 4일이다. 보호예수기간은 공모주를 많이 배정받는 조건으로..
[카카오뱅크] 장외 주가 급락 및 매수/매도 호가 괴리 카카오뱅크 장외가가 12% 넘게 하락한 81,500원을 기록하였다. 사실 장외가는 여기서 더 크게 하락해도 놀랍지 않은 게, 오늘 하락한 주가 기준으로도 총 발행된 주식수 386,376,442주를 대입하면 시가총액이 31조가 넘기 때문이다. 이미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 형성 마법(?)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하루 이렇게 급락해도 별 놀라운 일은 아니다. [카카오뱅크] 장외에서 형성된 시가총액의 비밀 2020년 9월 18일 장외시장에서 거래된 카카오뱅크의 주당 가격은 121,000원이다. 총 발행 주식수는 365,096,442주이기 때문에 오늘 기준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44조 1,767억 원이다. 참고로 오늘 기준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장외에서 카카오뱅크를 매도하..
[엘아이에스] 공시를 부인하는 계약 당사자, 주가 급락 오늘 엘아이에스의 주가가 26% 급락하는 도중 매매 거래정지를 당했다. 개장 전 우연히 소식을 접해서 지켜보고 있었는데, 대체 어떤 상황으로 엘아이에스의 주가가 급락했을까? 12월 16일 엘아이에스는 엄청난 규모의 마스크 상품 공급계약 공시를 냈다. 최근 매출액 대비 676%, 1조원 가까운 계약금액, 그리고 계약 상대방은 Double A 그룹이었다. Double A는 A4 용지로 유명한, 성인 대부분이 아는 태국의 제지기업이기에 확실한 계약 상대방, 엄청난 계약 금액으로 당연히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다만, 공시 당일인 16일도 10%대 상승을 했지만 계약 일자인 15일에 상한가를 기록했기에 정보가 유출된 것 아닌가 생각했었다. Double A 코리아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서 위와 같은 공지..
[예스24] 카카오뱅크 주식 190만주 이상 매각 예스24가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뱅크 주식 1,938,200주를 약 484억 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매각 금액 대비 매각 주식 수를 보면 주당 25,000원에 매각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역으로 카카오뱅크 총 주식 수에 대입하면 약 10조원이 나온다. 매각 대상은 한 사모펀드라고 하는데, 모든 지분을 다 처분한 게 아니기 때문에 처분 후 예스24의 카카오뱅크 보유 주식 수는 5,681,393주, 지분율은 1.4%가 된다. (매각 전 1.87%) 아마 이것 때문에 예스24의 주가가 크게 빠진 것 같은데, 단순히 주가가 빠진 사실 말고 다른 부분도 볼 필요가 있다. 예스24의 처분 목적은 '재무구조 개선'이고, 올해 실적 및 카카오뱅크 투자 수익률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간다. 동시에 한 사모펀드가 10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