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8월 1~10일 라면,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8월 1~10일 라면의 수출 데이터. 8.5영업일, 달러 기준 1,985만 달러, 원화 기준 257억 원. 7월 1~10일의 경우 7영업일, 1,943만 달러, 249억 원이었기 때문에 비슷한 금액이지만 하락했다 볼 수 있다. 5월부터 6, 7월 갈수록 달러 및 원화 기준 수출 금액이 하락했는데, 8월 초는 7월 초보다 하락 중이다. 7월 지역별 데이터는 8월 15일에 나오므로, 6월 밀양 데이터를 보면 5월 가동 시작 이후 증가 중에 있다. 최근 2Q 실적 발표 후 주가가 급등한 오스템임플란트 및 덴티움. 임플란트 동기간 8.5영업일, 달러 기준 2,444만 달러, 317억 원. 이 추세면 올해 월별 최고치였던 6월 수출을 넘어설 수 있다. 추세 이어진다고 가정 시 YoY 70%이상, MoM 20% 이..
과거 부동산 하락기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했을까? 1. 도곡렉슬 3,002세대, 2006년 1월 입주, 33B 기준 부동산 시장이 활황일 때 입주 8억 원 대 한 건 찍혀있는 특수거래 제외 시, 06~07년 사이 11~14억 원 시세 형성, 평균 12.5억 원. 하락기를 지나 침체기였던 12~13년 동일 평수 거래는 9~10억 원, 평균 9.5억 원. 평수에 따라 다르지만 33B평형은 5~6년간 평균 25% 정도 하락한 시세 유지. 현재는 부동산 하락기에 있다는 지난달 실거래가 기준 29.9억 원. 2. 타워팰리스 1차 1,294세대, 2002년 10월 입주, 66B 기준 06~07년 2년간 시세는 23.5~28억 원까지 상승, 평균 25.5억 원, 최고 시세 28억 원. 부동산 가격이 꺾이기 시작한 08~09년 동일 평수 고층이 2회 18억 원대 기록..
7월 1~31일 라면,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라면 원화 기준 7월 1~10일 249억 원, 11~20일 296억 원, 21~31일 229억 원, 7월 774억 원. 조업일수 기준 1~10일 7일, 11~20일 8.5일, 21~30일 8일. 7월의 경우 조업일수까지 감안하면 뒤로 갈수록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달러 기준 작년 5,240만 달러, 올해 6,007만달러, YoY +14.6%. 임플란트 원화 기준 7월 1~10일 193억 원, 11~20일 266억 원, 21~31일 311억 원, 7월 770억 원. 조업일수는 위와 같기에 임플란트의 경우 라면과 다르게 기대보다도 수출을 더 잘하고 있다. 달러 기준 작년 4,635만 달러, 올해 5,960만 달러, YoY +28.6%. 7월 1~2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오스템임플란트 어닝 서프..
[새빗켐] 성일하이텍에 이어 흥행 성공, 다른 폐배터리 관련주는? 새빗켐은 폐리튬이온 2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 및 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 2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 중이다. 얼마전 역대급 흥행을 기록한 성일하이텍에 이어 새빗켐 역시 흥행에 성공하였는데 공모가는 희망밴드 2.5만~3만의 최상단을 초과한 3.5만 원으로 확정되었다. 2차전지 '마지막 퍼즐'…폐배터리株 뜬다 2차전지 '마지막 퍼즐'…폐배터리株 뜬다, '자원 안보 시대' 본격화되며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급성장 현대차·LG엔솔도 선점 나서 코스모화학, 7거래일째 상승 하나기술·에이프로도 오름세 www.hankyung.com 28일 상장을 앞둔 성일하이텍 외 폐배터리 관련주로 언급되는 기업은 에코프로와 코스모화학이 있다. 에코프로그룹 계열사인 에코프로CNG는 폐배터리에서 니켈, 리튬과..
7월 1~2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오스템임플란트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 발표 7월 1~20일 라면 수출 원화 기준 545억 원, YoY +33%. 11~20일 기준 294억 원으로 YoY +31%. 작년 7월 수출 달러 기준 5,240만 달러이므로 올 7월 추세를 유지한다면 YoY +30%이상은 할 것 같다. 하반기에 원재료비 상승분이 반영되겠지만 소맥과 팜유 선물 가격은 지속 하락 중. 오스템임플란트의 2Q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액 2,306억 원, 영업이익 350억 원. 금일 발표한 2Q 잠정 실적은 매출액 2,654억 원, 영업이익 562억 원. 매출액 기준 컨센서스 15% 상회,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60% 상회. 3Q 실적이 반영되는 7월의 경우 작년 임플란트 수출 4,635달러, 올 7월 1~20일 수출 3,572달러 기록 중. 7월 1~1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
[통계청] 2021년 가구 순자산 핵심은 '수도권 부동산'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 우리나라 전체 자산이자 국부를 의미하는 국민순자산은 2021년말 기준 1경 9,808조 8,000억 원. 이는 전년말 1경 777,8조 9,000억 원에 비해 11.4% 증가한 수치다. 실물자산인 비금융자산은 1경 9,027조 원으로 10.3% 증가, 순금융자산은 782조 원으로 47.5% 증가했다. 전년 대비 순금융자산의 증가율이 훨씬 높지만, 규모는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이 압도적이다. 국민순자산의 규모나 증감내역을 보면 '토지자산'의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토지자산을 따로 떼어서 보면 과거부터 토지자산의 증감율은 차이가 있지만 항상 (+)를 유지한다. 현재도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GDP증가율에 비해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지 ..
[성일하이텍] 환매청구권 정의, 대상, 행사가능기간, 조정가격 예시 1) 환매청구권: 공모 시 배정받은 주식을 당해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 2) 행사가능기간: 상장일로부터 3개월 3) 매수방법: 증권시장 밖에서 인수단이 매수 4) 권리행사가격: 공모가격의 90%를 권리행사가격으로 함 (단,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지수에 비해 10% 초과 하락한 경우는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함) 5) 조정가격 =공모가격의 90% x [1.1 + (환매청구권 행사날 직전 거래일 코스닥 지수 - 상장일 직전 코스닥 지수) / 상장일 직전 코스닥 지수] *예시) 공모가격 50,000원의 90%=45,000원 상장일 직전 코스닥 지수 1,000 가정 환매청구권 행사날 직전 거래일 코스닥 지수 800 가정 (지수 20% 하락 시) 45,00..
7월 1~10일 라면 및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덴티움 급락) 7월 1~10일 라면 수출 데이터 잠정치.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삼양식품의 경우 데이터 발표 후 하락하다가 보합으로 마감했다. 원화 기준 6월 1~10일 266억 원에 비하면 수출 금액이 더 낮다. 6월 조업일수 6.5일, 7월은 7일, 6월 초중순 파업영향까지 감안하면 예상보다 수치가 낮다. 특히, 6월 21~30일의 경우 수출 금액이 다시 크게 증가해 7월에도 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전년동기대비로는 증가했기에, 시장 참여자들도 갈팡질팡하는 것 같다. 임플란트의 경우 전월 추세와 비교해보면 수출 데이터가 라면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 덴티움과 오스템임플란트 주가 모두 하락하였는데, 특히 덴티움의 경우 12% 정도 급락했다. 신한금융투자에서 장중 덴티움에 관해 코멘트를 남겼는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