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한국카본] LNG운반선 호황 및 실적 시차 최근 발간된 한화투자증권의 조선 업종 의견 하향 보고서. 요약하면, 조선소의 일감은 늘고 있지만 그 속도가 둔화 중인데 과거 선가와 전년 대비 수주잔고 비교 시, 전년 대비 수주잔고가 줄면 4~5개월 뒤 선가도 하락했다는 것. 그럼에도 LNG운반선의 강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LNG운반선만 보면 되지 않을까?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연구원님이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LNG운반선의 가격은 작년부터 지속 상승 중이다. 가장 최근 계약한 금액은 더 높은데 한국조선해양이 공시한 자회사 현대삼호중공업의 LNGC 2척 계약금액은 6,173억 원이다. 척당 금액은 3,086억 5천만 원, 달러 환산 시 240백만달러를 소폭 넘어섰다. (적용 USD 1=1,286.00원) 현재 업황을 봤을 때 역사적 최고점..
6월 1~10일까지 임플란트와 라면 수출 데이터 전일 발표한 6월 1~10일 임플란트 수출 잠정치. 달러 기준 1,909만 달러, 원화 기준 238억 원이다. 2021년 6월 전체 수출액이 5,769만 달러였고 환율도 더 좋으니, YoY 실적이 더 잘 나올 것 같다. 올해 5월과 비교했을 때 이 추세면 원화 기준 수출이 감소하는 것 같은데, 끝까지 봐야 한다. 동기간인 5월 1~10일만 놓고보면 1,707만 달러로 6월 1,909만 달러보다 낮기 때문이다. [오스템임플란트] 임플란트 수출 호조 및 덴티움과의 간단 비교 5월 10일까지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추정치. 작년 5월 $4,100만, 올 5월 1~10일 $1,700만, 원화 기준 작년 5월 460억 원, 올 5월 1~10일 212억 원. 5월 내내 이 추세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단순히 계산해 6..
[LNG선] 계약 취소가 오히려 호재가 되는 특이한 상황 한국조선해양 최근 공시를 보면 전일 공급 계약 해지, 금일 공급 계약 체결 공시가 있다. 먼저 공급 계약 해지 공시를 보면 아프리카 소재 선사가 선박 건조대금을 지급하지 않아 계약을 해지했다. LNG운반선 2척이니 척당 해지금액은 2,673억 5천만 원이다. 바로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연구원님이 계약 해지 관련 의견을 냈다. 불황기에는 계약 취소 시 슬롯을 비우거나 싸게 팔아야 하기 때문에 악재지만 현재처럼 LNG선가가 지속 상승 중인 발주 강세 기간에는 리세일이 가능해 오히려 호재라는 것이다. 최근 투기발주 등을 보면 계약 취소 금액보다 더 높은 선가로 계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어제 계약해지 공시 후 나온 금일 공시를 보면 최광식 연구원님 예상이 맞았다. 계약일자가 해지일자와 같은 걸로 봐선 바로..
서울 25개구 아파트 평균 평당가 순위 KB부동산 2022년 5월 월간 주택가격동향 중 구별 ㎡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통계. 추세가 아닌 현 시점을 기준으로 한 통계이며, 통계별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서울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당 평균매매가격은 687만 원, 평당 2,267만 원이다. 서울 평균은 ㎡당 1,561만 원, 평당 5,151만 원이다. 서울 25개구를 ㎡당 평당가 순서대로 나열하면 1. 강남구 ㎡당 2,555만 원, 평당 8,432만 원 2. 서초구 ㎡당 2,355만 원, 평당 7,772만 원 3. 송파구 ㎡당 1,867만 원, 평당 6,161만 원 4. 용산구 ㎡당 1,820만 원, 평당 6,006만 원 5. 성동구 ㎡당 1,623만 원, 평당 5,356만 원 6. 광진구 ㎡당 1,544만 원, 평당 5,095만 원 7. ..
[삼양식품] 예상대로 라면 수출 월별 최고치 경신 및 컨센서스 금일 발표한 5월 라면 수출 잠정치. 5월 초 흐름을 보니 3월 기록했던 월별 최고치 경신이 가능해보였고, 중순까지 보니 거의 그럴 것 같았다. 예상대로 5월 라면 수출은 원화 기준 월별 최고치를 경신했다. 현재 시장의 2Q 매출액 컨센서스는 약 1,740억 원, 올해는 7,500억 원이다. 6월 데이터는 없지만 4,5월 데이터와 그 추세를 봤을 때 2Q 매출액이 1Q보다 낮을까? 라는 의문이 든다. 심지어 5월 초부터 밀양 신공장이 완공 후 가동에 들어갔다. 1Q보다 약간 높거나 설령 비슷하게 나온다해도 2Q 매출액 컨센서스보단 확실히 높을 것 같다. 유진투자증권의 삼양식품 보고서. 대부분 아는 내용처럼 2Q부터 원재료비 압박이 있고, 신공장 완공 및 가동으로 인한 Q증가의 호재가 있다. 하지만 어느 ..
[한국카본] 당장의 실적보다 더 중요할 단기 이벤트 작년 삼프로TV에 출연한 엄경아 연구원님의 조선 업계 소식을 복습해보면 9:30초부터 카타르 LNG프로젝트 관련 이야기가 나온다. 작년 말 카타르 에너지에서는 발주를 했다고 보도 자료를 배포했지만 계약서에는 도장을 찍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선사에서는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상태다. 업계 소식으로는 카타르 에너지가 대우조선해양에 LNG운반선 4척, 삼성중공업에 2척 그리고 현대중공업에 4척을 수주했다고 한다. 공식적으로 계약서에 도장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는 올 1분기였다. 조선 3사, 이르면 3월 카타르발 LNG 운반선 16척 수주 전망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조선 3사가 카타르 국영석유회사와 100여척 이상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슬롯 계약을 맺은 가운데 3조8000억원 규모의..
[삼양식품] 밀양 신공장 가동 및 수출 월별 최고 경신 가능성 김태홍 그로쓰힐 자산운용 대표님의 종목 발굴 방법 중 하나는 기업의 공장 증설이다. 20분부터 관련 내용이 나오는데, 실제 투자했었던 효성티앤씨의 예가 나온다. 우선 기업이 의미있는 규모의 공장 증설을 하면 반합격, 그 후 경쟁사의 상황을 봐야 한다. 기존 생산 규모 대비 50% 증설이면 훌륭한 수준이라고 하는데, 삼양식품이 그렇다. 밀양공장 증설로 인해 연간 최대 라면 생산량은 12억개에서 18억개로 50% 증가한다. 삼양식품의 최근 사업보고서를 보면 이번달 초 밀양공장 준공 후 생산에 들어갔다. 작년부터 현재까지 라면 경쟁사의 상황을 보면 삼양식품이 가장 좋아 보인다. 꾸준히 증가하는 라면 수출에서 삼양식품의 비중이 40%대에서 50%대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영상에서는 인플레이션 시대 판가 인상으로 ..
[두나무앤파트너스] 재주목받는 루나 코인 매각 공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의 100% 자회사인 두나무앤파트너스의 작년 공시. 업비트 공지사항을 보면, 작년 2월 28일 보유 중인 2가지 코인 중 하나를 전량 매각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루나 코인 2천만개를 2월 19일 전량매도했다는 공시인데 최초 취득일자는 2018년 04월 20일, 개당 100원대에 매수해 7,000원 정도에 매각했다. 두나무앤파트너스의 작년 감사보고서를 보면 약 1,300억 원의 무형자산처분이익이 있는데, 루나 코인 매각 이익 덕분에 작년 76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 또한 부분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나 이익잉여금도 712억 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