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오스템임플란트] 임플란트 수출 호조 및 덴티움과의 간단 비교 5월 10일까지 임플란트 수출 데이터 추정치. 작년 5월 $4,100만, 올 5월 1~10일 $1,700만, 원화 기준 작년 5월 460억 원, 올 5월 1~10일 212억 원. 5월 내내 이 추세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단순히 계산해 630억 원 정도, 대략 YoY 40% 정도 증가. 금일 디오의 1Q실적이 발표됐는데, YoY 이익이 급감해 제외하고 오스템임플란트와 덴티움만 비교했다. 오스템임플란트 1Q22 매출액 YoY 36.5%증가, 영업이익 YoY 100.5% 증가, 영업이익률 21.9%. 덴티움 1Q22 매출액 YoY 38.5%, 영업이익 YoY 91.7% 증가, 영업이익률 27.4%. 오스템임플란트의 금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올해 예상 순이익의 약 11.5배, 덴티움 약 10.7배. 고성장하는..
[삼양식품] 월별 최고치 경신 가능성 및 소맥, 팜유 가격 금일 장중 5월 1~10일 라면 수출 잠정치가 발표됐다. 월별 최고치를 찍은 3월에 비해 4월 YoY, MoM 모두 기대 이하의 수출을 기록하다가 다시 급반등했다. 특이한 변수가 없으면 달러 강세 효과까지 더해져 3월 기록한 월별 최고치를 또 경신할 가능성이 있다. 금일 발표한 5월 초 1~10일 잠정치는 YoY +46%의 수치다. 재고 6~9개월로 알고 있는 소맥 가격의 경우 전고점 대비 소폭 하락한 것 같지만 여전히 높고 2~3개월로 소맥보다 더 재고 기간이 짧은 팜유 가격 역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1Q22의 경우 컨센서스까지 낮았으니 실적은 잘 나올텐데 신경쓰이는 건 2Q부터다. 다른 식품과 다르게 라면의 경우 가격을 계속 올리는 게 부담스러운데 실제로 삼양식품측에서도 작년 하반기 한차례 ..
[한국카본] 대우조선해양과의 계약과 기대되는 미래 최근 조선기자재 업체 중 주가 상승률이 좋은 한국카본의 공시. 대우조선해양에게 Insulation Panel 공급, 예상 계약 금액은 652억 원, 최근 매출액 대비 17.73%. 이 공시 이후 기관의 대량 매수가 발생하며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는데, 이를 잘 설명한 영상이 있다. 우리나라가 건조하는 LNG운반선의 화물창은 멤브레인형으로 Mark3와 NO96 2가지 형태가 있다. *화물창: 화물을 싣는 창고로, LNG운반선의 경우 LNG를 싣는 창고. 액화된 천연가스가 운반 도중 일부가 기화하는데, 기화율이 Mark3는 0.07%, NO96은 0.1% 정도. 두 형태 모두 특허를 보유한 GTT가 NO96을 NO96 Super+로 개량하여 기화율을 0.085%로 낮춤. 보냉재는 Mark3에만 들어가고, NO..
[오스템임플란트] 이런 기업은 지금 사야하지 않을까? 지난 28일부터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식 매매 거래가 재개되었다. 등락이 굉장히 심했는데, 첫날 시가는 121,000원으로 전고점 대비 약 14% 하락한 수준. 개장하자마자 매수세가 몰려 9.01% 상승한 131,900원의 고점을 기록한 후 매도 물량이 쏟아지며 -9.42%를 기록하다가, -7.44%인 112,000원으로 장을 마감했었다. 거래량이 많이 터진 것을 보면 '투자주의환기' 종목이라 어쩔 수 없이 매도해야 하는 패시브 자금 영향 같다. 29일도 거래량이 과거보단 많이 터지며 -5~4%를 반복하다가 보합으로 마감했다. 횡령 사건 이후 거래가 재개되기 전날인 26일, 오스템임플란트는 1Q22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발표하였다. 이어 27일, 시가총액 대비 작지만 300억 원의 자사주 신탁계약을 체결했다..
조선사 VS. 조선 기자재 업체 어디가 좋을까? 최근 발간된 신영증권,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조선 보고서 발췌. 올 초 조선사와 전망기관 모두 전년 대비 20~25% 수주 감소를 전망함. 작년 컨테이너선의 발주가 역대급이었기 때문에 2년 연속은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 추세는 지속적으로 확인해야겠지만 적어도 1Q22는 전망과 다르게 수주가 좋았음. 또 다른 주력선종은 LNG선의 경우도 1Q22 수주는 전년 대비 44.7%를 기록함. 하지만 지난해 급등한 후판 가격의 추가 인상이 예상되고 있음. 지난해 하반기 조선사와 철강사들이 합의한 후판 가격은 상반기 대비 40%인상된 수준. 이는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2Q21 조선사들은 1.9조원의 대규모 충당금을 설정함. 당시 조선사들은 올해부터 후판 가격 하향 안정화를 예상했는데, 현재 추가 ..
[아이패밀리에스씨] 드디어 실외 마스크 의무화 해제 다음주부터 '실외 마스크' 안녕…정부, 29일 기준 발표 이제 실외에선 마스크도 안녕입니다. 다음 주부터 '실외 마스크 의무화'가 해제됩니다. 2년간 견뎌온 답답함을 벗어낸다는 점에선 .. news.jtbc.joins.com 다음주부터 실외 마스크 의무화가 해제되는데, 그 기준은 29일(금) 오전 발표된다. 인수위가 5월 말쯤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여러 의견을 종합해 현 정부가 선제적으로 풀 계획이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실외 경기장이나 행사, 집회 등 일정 규모 이상이 모일 경우 착용이 필수다. 일정 규모의 구체적인 인원 수는 현재 최종 조율 중이다. 색조 화장품 기업 아이패밀리에스씨와 클리오가 동반 7%대의 상승으로 마감했다. 리오프닝 수혜 기업마다 특징이 다르지만, '실외 마스크 의무화' 해제 수..
[NH투자증권]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2022년 4월 발행한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기초통계는 2021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대상은 총 18,187건의 데이터 중 상위 1%인 182건, 조사단위는 '가구'. (일시 별거가족 포함) 절대적 기준인 '백만장자(Millionaire)'가 유래한 1820년대와 현재는 괴리가 커(현재 가치 2,300만 달러) 상대적 개념을 고려한 일반 부자들의 실질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분석함. 2020년 기준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보유한 개인은 39만 3천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약 0.76%. 즉, 개인이 10억 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전체 인구 상위 1%안에 들어간다는 것. 반면, 가구 기준은 1%의 경우 209,267가구로 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 Korean Wealth Report -부자: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의 보유자(가구 기준) -대중 부유층: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자산 1~10억 원 미만 보유자(가구 기준) -일반 대중: 금융 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자산 1억 원 미만 보유자(가구 기준) -영리치: 49세 이하 부자 -올드리치: 50세 이상 부자 2022년 향후 경기 전망 부자의 과반 이상이 부정적(매우 별로 4%+별로 52%)으로 전망함. 부자의 총자산(금융자산 뿐 아니라 모든 자산 포함)이 10~30억 원의 경우 보다(50%) 30~50억 원(59%), 50억 원 이상(58%)이 실물 경기를 더 부정적(매우 별로+별로)으로 판단함. 부동산의 경우 일반 대중(48%) 및 대중 부유층(50%)보다 부자(59%)의 향후 전망이 더욱 부정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