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SK바이오팜] 기관 보유 최대 물량 보호예수 기간 종료 SK바이오팜의 최대주주인 SK의 보통주 58,734,940주 보호예수 기간이 2021년 1월 1일자로 종료된다. 이 물량은 2021년 첫 거래일인 1월 4일 시장에 쏟아질 수 있는데, 최대주주의 물량이기 때문에 일부만, 혹은 아예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긍정적으로 생각해 이 부분은 걱정하지 않는다고 해도, 공모주를 받은 기관의 또 다른 물량 보호예수 기간도 종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신경써야 할 것 같다. 예전 작성 글에 있는 것을 그대로 가져왔는데, 신경써야 할 부분은 체크한 '3개월 확약' 위에 있는 '6개월 확약' 물량이다. SK바이오팜의 상장일은 2020년 7월 2일이므로, 6개월 의무 보유 기간이 끝나는 첫 거래일은 2021년 1월 4일이다. 보호예수기간은 공모주를 많이 배정받는 조건으로..
[카카오뱅크] 장외 주가 급락 및 매수/매도 호가 괴리 카카오뱅크 장외가가 12% 넘게 하락한 81,500원을 기록하였다. 사실 장외가는 여기서 더 크게 하락해도 놀랍지 않은 게, 오늘 하락한 주가 기준으로도 총 발행된 주식수 386,376,442주를 대입하면 시가총액이 31조가 넘기 때문이다. 이미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 형성 마법(?)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하루 이렇게 급락해도 별 놀라운 일은 아니다. [카카오뱅크] 장외에서 형성된 시가총액의 비밀 2020년 9월 18일 장외시장에서 거래된 카카오뱅크의 주당 가격은 121,000원이다. 총 발행 주식수는 365,096,442주이기 때문에 오늘 기준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44조 1,767억 원이다. 참고로 오늘 기준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장외에서 카카오뱅크를 매도하..
[엘아이에스] 공시를 부인하는 계약 당사자, 주가 급락 오늘 엘아이에스의 주가가 26% 급락하는 도중 매매 거래정지를 당했다. 개장 전 우연히 소식을 접해서 지켜보고 있었는데, 대체 어떤 상황으로 엘아이에스의 주가가 급락했을까? 12월 16일 엘아이에스는 엄청난 규모의 마스크 상품 공급계약 공시를 냈다. 최근 매출액 대비 676%, 1조원 가까운 계약금액, 그리고 계약 상대방은 Double A 그룹이었다. Double A는 A4 용지로 유명한, 성인 대부분이 아는 태국의 제지기업이기에 확실한 계약 상대방, 엄청난 계약 금액으로 당연히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다만, 공시 당일인 16일도 10%대 상승을 했지만 계약 일자인 15일에 상한가를 기록했기에 정보가 유출된 것 아닌가 생각했었다. Double A 코리아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서 위와 같은 공지..
[예스24] 카카오뱅크 주식 190만주 이상 매각 예스24가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뱅크 주식 1,938,200주를 약 484억 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매각 금액 대비 매각 주식 수를 보면 주당 25,000원에 매각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역으로 카카오뱅크 총 주식 수에 대입하면 약 10조원이 나온다. 매각 대상은 한 사모펀드라고 하는데, 모든 지분을 다 처분한 게 아니기 때문에 처분 후 예스24의 카카오뱅크 보유 주식 수는 5,681,393주, 지분율은 1.4%가 된다. (매각 전 1.87%) 아마 이것 때문에 예스24의 주가가 크게 빠진 것 같은데, 단순히 주가가 빠진 사실 말고 다른 부분도 볼 필요가 있다. 예스24의 처분 목적은 '재무구조 개선'이고, 올해 실적 및 카카오뱅크 투자 수익률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간다. 동시에 한 사모펀드가 10조..
[통계청] 2020 가구 자산과 소득 (feat. 소득주도성장 효과) 어제 통계청 홈페이지에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보고서가 올라왔다. 기준은 2020년 3월 31일 이므로, 코로나19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선 내년 자료를 참고해야 할 것 같다. 또한 '소득'의 기준은 2020년이 아닌 2019년이다. 2020년 가구당 순자산은 3억 6,287만원으로, 2019년의 3억 5,281만원 대비 2.9% 상승했다. 가구당 소득은 전년대비 1.7% 상승한 5,924만원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순자산 보유액 분포를 보면, 10억 원 이상 비율이 7.2%로 전년 6.8%대비 0.4% 증가했다.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당 순자산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50대 가구가 4억 98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세 이상 3억 7,422만원, 40대 3억 7,359만원으로 조사됐다...
[KB주택가격동향] 서울 강북 아파트 평균 8억 원 최초 돌파 전국 주택의 매매 및 전세가격 변동상황을 조사하여 주택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KB주택가격동향 11월 보고서에서, 서울 강북 아파트가격이 최초로 평균 8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9월에 이미 10억 원을 돌파한 서울 아파트 11월 평균 매매가격은 10억 2,767만원으로 나타났고, 강북의 경우 제목처럼 8억 원을 돌파한 8억 360만원, 강남의 경우는 12억 2,460만원으로 조사됐다. 분명히 9월에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 원을 돌파했을 때 김어준씨 방송에 처음 들어보는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교수가 출연해 이상한 주장을 했는데, 그 분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2020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 10억 원 팩트 체크 “서울 아파트 평균 10억 돌파…강남구는 20억 넘어” 서..
[통계청] 코로나19 사회동향 종합 보고서 통계청이 발간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보고서에는 '인구, 가족 및 가구, 건강, 교육, 노동, 소득 및 소비, 문화 및 여가, 주거 및 교통, 환경, 안전, 사회통합' 등 11개 영역 내용이 들어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대변혁과 새로운 일상의 모습이 통계에 기초해 작성됐고, 그 중 관심있는 몇 가지만 소개하려고 한다. 외환위기 당시에는 제조업 및 건설업의 고용감소가 가장 컸지만, 코로나19에서는(연두)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업의 고용감소가 크게 발생하였다. 특히, 교육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때에도 심각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코로나19에는 직격탄을 맞았다. 일자리 및 임금의 변화에서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조사 대상자 중 일자리를 보존했고 코로나1..
[카카오뱅크] 상장 주관사 선정 완료 및 예상 기업가치? IPO 최대어 카카오뱅크, 대표 주관 'KB·CS'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카카오뱅크가 대표주관사로 KB증권 및 CS(크레디트스위스)를 선정했고, 공동주관사로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을 선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국내외 증권사 중 한 곳씩 선정했는데, 이들이 대표로 상장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이미 알려져있듯 주관사 선정 과정에서 증권사들이 제시한 카카오뱅크의 예상 적정가치는 20조원 안팎으로, 카카오뱅크 입장에서는 밸류에이션 측면에 집중을 한 만큼 이를 잘 풀어낼 곳을 선정했을 것이다. 어쨌든 글로벌 사모펀드들이 투자한 9조 3,000억 원이 최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카카오페이 IPO는 삼성증권 단독 대표로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