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6)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젠텍] 어닝 쇼크 및 주가 폭락의 원인 8월 11일 수젠텍의 주가는 23%이상 폭락하였다. 무슨 이유 때문인지, 그리고 그와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보려고 한다. 또한 결과론적이지만 진단키트 관련 기업들의 2분기 실적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할만한 신호는 없었는지도 알아보려고 한다. 8월 10일 장 마감 후 수젠텍은 실적 공시를 했다. 2분기의 매출액은 약 240억, 영업이익은 약 200억을 기록했고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까지 하였다. 그럼에도 다음 날인 11일 주가는 폭락을 하였는데, 적자도 탈출하고 1년 전보다 큰 폭의 실적 개선을 했음에도 주가가 폭락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증권사의 예측치' 때문이다. 이것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컨센서스', '어닝 서프라이즈', '어닝 쇼크'라는 용어를 알아야 한다. 먼저 '컨.. [한솔제지] 급증하는 산업용지(백판지) 수요의 수혜주 한솔제지는 한솔홀딩스의 제지사업 부문 분할 후 인쇄용지, 산업용지, 특수지의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기업이다. 소폭 줄어든 매출액만 제외하면 2분기 역시 1분기에 이어 호실적을 발표했는데, 어떤 부문이 실적 향상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인쇄용지의 경우 교과서 등의 서적류 제품에 사용되는 용지를 말한다. 과거 30년 동안 GDP보다 높은 성장율을 구가했으나, 최근 전자 매체의 발달로 성장 속도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고, 실제 한솔제지의 부문별 매출액, 영업이익 추이를 보면(별도기준), 인쇄용지의 영업이익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진한 녹색) 한솔제지가 자체 추정한 내수 시장점유율은 2020년 2월 말 기준 약 31%정도이고, 공급과잉에 대응하여 감열지로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있다.. 임대료 규제와 그 부작용 '미아 패로 법' 임차의 2년 추가 연장을 담은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인상 제한 등의 내용을 담은 '임대차 3법' 논란이 많다. 임대료 인상 제한(임대료 규제)은 '가격상한제'와 같다.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이유는 시장에서 결정된 결과가 불공평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대표적인 가격통제는 '최저가격제(Floor Price System)'인 최저임금제도와 '최고가격제(Maximum Price System)'인 분양가 상한제, 임대료 규제이다. 이는 가난한 사람들을 도울 목적으로 도입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에게 피해를 주기도 한다. 임대료 규제가 시행되면 단기에 임대료는 낮아지지만 임대주택 주인들의 주택 유지 및 보수 유인을 없애기 때문에 임차인 입장에서는 집을 구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최저임금제도 역시 직.. [한국은행]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능력' 보고서 임대차 3법으로 전세 물량이 줄어들까? 임대차 3법이라는 법안이 나오자 임대인, 임차인 모두 혼란에 빠졌다. 임대인도 아니고 임차인도 아닌, 제 3자 입장에서 임대차 3법, 그리고 전세 제도에 대한 의견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먼저 임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며칠 전 임대차 3법으로 인해 전세 물량이 줄어들지에 대한 의견을 작성했다. '추가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세 공급이 일정한 상태라면, 전세 물량은 줄어들 것 같다'는 것이 내 생각이었다. 그리고 그 주장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았다. 부동산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무리한 대출을 이용해 '패닉 바잉(Panic Buying)'한 분들은 여유가 없겠지만 단순히 ROE(자기자본이익률)를 높이기 위해 대출.. 임대차 3법으로 전세 물량이 줄어들까? 임대차 3법이라는 법안이 나오자 임대인, 임차인 모두 혼란에 빠졌다. 임대인도 아니고 임차인도 아닌, 제 3자 입장에서 임대차 3법, 그리고 전세 제도에 대한 의견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먼저 임대인의 계획은 4년(기존 2년+2년 연장)후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것이다. 애초에 은행 예금 이자도 1% 수준인데 물가상승률까지 감안하면 손해일 때가 있기 때문이다. (CPI인 소비자물가지수와 생활물가지수는 다르다) 물론 월세로 전환하지 못할 것이라는 반박 의견도 존재한다. 최근 서울 주택거래의 약 70%정도가 전세를 이용한 갭투자라, 월세로의 전환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전세금을 반환해야 하는데 이들 역시 현금이 없을 것이므로 당연히 전세 제도를 유지할 것이라는 논리다. 개인적으로는 반박 의견에 절반만 동의한다... 7월 산업별 수출 동향 및 특징 오늘 7월 수출입 동향 자료가 발표됐다. 이 통계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하며,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7월 수출의 특징은 코로나19 이후, 수출 감소율이 한 자릿수대로 처음 진입했다는 것이다. 중국, 미국, EU 등 3대 수출시장이 회복세에 있고(아세안, 일본, 중남미 제외), 코로나19 이후 가장 많은 품목이 플러스로 전환한 점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5.6%): 비교적 견조했던 서버 수요 둔화 및 D램 및 낸드 고정 가격의 소폭 하락에도 불구,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반기 부진했던 스마트폰 출하량 회복에 따른 모바일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월 소폭 감소에서 7월 반도체 수출은 증가 -컴퓨터(+77.1%): 서버시장을..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의 황당한 GDP성장률 통계 비교 최근 부동산 시장의 임대차 3법 논란이 많은데, 이와 관련해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가 어떤 주장을 하는지 궁금하여 오늘 그의 홈페이지를 방문했다. 마침 막 작성된 글이 있어서 클릭을 하였는데, 그 글을 읽고 너무 황당해 바로 캡쳐를 하였다. 제목이 '-3.3% vs -33%' 였는데, 글을 읽기도 전에 우리나라 시간 기준 어제 밤 발표된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과 우리나라 2분기 경제성장률의 비교 내용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나중에 수정하긴 했지만 처음 이준구 교수가 작성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는 미국의 2분기 GDP성장률은 -33%인 반면, 우리나라 2분기 GDP성장률은 -3.3%라면서 추가로 조선일보에서는 우리나라보고 '고꾸라진 경제'라는 표현을 쓰던데, 그에 비해 무려 '10배'나 역성장을.. PDR지표의 등장과 주식시장의 역사 대세는 PER, PBR이 아닌 PDR지표(?) 테슬라(Tesla)가 일본 도요타(Toyota)를 2위로 밀어내며 세계 자동차업계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 요즘 뜨고 있는 수소차업체 니콜라(Nikola)의 시가총액은 포드(Ford)의 시가총액에 육박하고 있다. ��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이번 달 초, 주식시장에서의 PDR지표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다. 기존 지표로 설명되지 않는 주가 수준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지표가 등장한 것인데, 이는 역사적으로 반복됐던 일이다. 최근 DB금융투자에서 발간한 리포트를 참고하여 과거 사례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PDR은 'Price to Dream Ratio'로 현재 주가와 꿈의 크기 비율을 의미한다. 현재의 높은 주가를 이익(Earn..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