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아일랜드 대기근과 기펜재(Giffen good) 아일랜드 대기근(The Great Hunger 혹은 Great Famine)은 1847년에 발생해 800여만 명의 아일랜드 인구 중 200여만 명이 사망하고 200여만 명이 해외로 이주하여 아일랜드의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한 사건이다. 이 대기근은 19세기에 발생한 인류 최대의 재앙으로 기록되고 있다. 흔히 대기근의 원인이 '감자역병(감자에 발생하는 병해)'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대기근에 책임이 있는 영국의 역사 날조에 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아일랜드인들은 지금도 영국인에게 뿌리 깊은 악감정을 가지고 있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1845년 어느 시점부터 아일랜드 전역에 감자역병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인들의 주식이었던 감자가 없어지자 이들은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이 감..
리쇼어링을 거부하는 중소기업들과 그 이유 중소기업중앙회는 6월 12일부터 22일까지 중국 및 베트남에 현지법인이 있는 중소기업 200개사를 대상으로 팩스, 이메일,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쇼어링'에 관한 설문조사이고 6월 26일 오늘 홈페이지에 공개하였다. 궁금해서 직접 결과를 확인해보았다. '리쇼어링(reshoring)'은 해외에 나가있는 자국 기업들을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정책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오프쇼어링(off-shoring)'인데 싼 인건비나 판매시장을 찾아 해외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급증했지만 미국의 경우 국가차원에서 리쇼어링 정책을 펼치고 있다. 먼저 설문조사 결과를 확인해보고 개인적인 의견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전·현직 고위공직자 63명 다주택 비율 공개 오늘 6월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3월 임용됐거나 퇴직한 전·현직 고위공직자 63명의 재산 등록사항을 관보에 게재했다. 그 중 여러 조건은 다 제외하고 '다주택자' 기준으로만 나열해보려고 한다. 본인과 배우자 기준으로만 넣었다. 직접 확인하며 캡쳐하였으니 고위공직자들의 다주택 현황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제외한 경우 1) 본인 1주택, 부 1주택, 모 1주택, 장녀 1주택, 장남 1주택: 본인 기준으로 1주택으로 봄 2) 본인 1주택, 3건물: 주택만 기준으로 봄 3) 본인 1주택, 10토지: 역시 주택만 기준으로 봄 4) 본인 전세나 월세, 배우자 1주택: 1주택으로 보고 제외시킴 5) 본인 1/2주택, 배우자 1/2주택: 절세 행위의 1주택으로 보고 제외시킴 -포함한 경우 1) 본인 ..
무상증자는 정말 보너스일까? [와이엠티] 무상증자와 거래량, 그리고 상한가 '와이엠티'가 무상증자 공시 이후 상한가를 기록했다. 무상증자가 무엇이고 거래량 적은 종목이 정말 나쁜지에 대해 의견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기업이 '증자'를 한다는 것은 자본금을 늘리는 ��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며칠 전 와이엠티라는 기업이 무상증자를 발표한 후 상한가를 기록했다. 당시 그것에 대해 기록을 했었는데, 최근 무상증자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리포트가 발간되어 소개해보려고 한다. 기존에도 작성했지만 무상증자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이 증자를 하면 이는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무상증자의 경우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 역시 자본금이 늘어난다. 하지만 계정상 왼쪽 주머..
과거 Nifty Fifty 버블과 현재 FANGAM 6월 22일 MarketWatch에 'Why Facebook, Amazon, Apple and other highfliers now look a lot like the 'Nifty Fifty' bubble stocks of the 1970s' 라는 영문 기사가 올라왔다. 전문은 아니고 일부만 번역해서 작성할 예정이니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같이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FANGAM(Facebook, Amazon, Netflix, Google, Apple, Microsoft) 주식을 보유하는 것은 모두 굉장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며, 그 기업들은 코로나19의 세상에서 더 잘 작동한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그들의 존재는 가상 세계가 아닌 현실 세계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Googl..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를 축소시킨다고? 보통 경제 정책은 1~2분기(3~6개월)정도 내에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것은 흐름을 파악하는 것일 뿐 충분한 기간이 지나야 그 결과가 서서히 드러난다. 과거 4년 전 한 언론사의 최저임금 관련 주장이 지금 어떤 결과로 나타나고 있는지 소개하려고 한다. "최저임금 인상=일자리 축소" 재계의 괜한 걱정 최저임금 인상, 과연 해고를 부르는 독배인가?[오마이뉴스 글:새사연, 편집:손지은] ▲ 지난 5일 오전 서울 성북구 성신여자대학교 정문 앞에서 성신여대 ... news.naver.com 최저임금을 올리면 일자리가 축소될 것이라는 재계의 걱정은 기우에 불과할 뿐이라는 내용의 기사다. 기사의 요약은 이와 같고 기사에 있는 그래프까지 설명을 할 예정이니 굳이 읽지 않아도 되..
2020 과거 정권과 비교한 서울 아파트 가격 분석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라는 시민단체에서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의 서울 아파트 가격 비교 및 관련 몇 가지 자료를 내놓았다. 몇 차례 이 시민단체의 발표 자료를 인용했는데, 나는 이 시민단체와 관련도 없고 관심도 없다. 또한 이 곳이 내리는 결론에 대해서도 생각이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그저 통계청, 한국은행, KB 주택가격 동향 자료를 한 곳에 모아놨기에 그 정리된 통계를 인용하기 위함이다. 상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 가면 첫 화면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고, 여기에는 굵직한 몇 가지만 소개해보려고 한다.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 순서로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얼마나 변했는지 조사했다. 정권 출범 첫 번째 달과 마지막 달 기준이고 문재인 정부는 현재 진행형, 국민은행 중위가격 통계자료는..
[SK 바이오팜] IPO열풍과 99년의 향기 금주 SK 바이오팜 청약(6/23~24일)을 앞두고 주식 시장, 특히 제약 및 바이오 시장이 뜨겁다. SK 바이오팜의 기관 청약 경쟁률은 역대 최고였던 2014년 삼성SDS 651:1을 훌쩍 뛰어넘은 836:1을 기록했다. (제일모직 465:1, 삼성바이오로직스 296:1) 현재 성장주 공모에 대한 관심이 1999년을 연상시키는데, 유진투자증권 글로벌매크로팀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토대로 그 내용을 알아보려고 한다. SK 바이오팜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과거 IPO 열풍과 그 시기에 관한 내용이다. SK 바이오팜 청약에는 대규모 자금이 몰릴 가능성이 크다. 1999~2000년 대규모 IPO가 연속되었었고, 보통 이러한 현상은 상승장 막판에 나타난다. 물론 이제 IPO 붐이 시작되었을 뿐이기 때문에 과거를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