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305)
[빅히트엔터테인먼트] BTS 멤버들의 주식 평가액은?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올 10월 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지분증권)를 제출했다. 일반공모 방법으로 7,130,000주를 모집하며 공모 예정가는 105,000원~135,000원, 모집금액은 7,487~9,626억 원이다. 9월 24일~25일 이틀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10월 5~6일 청약을 거쳐 10월 중 코스피에 상장할 예정이다. 현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최대주주는 방시혁 대표로 보유지분은 12,377,337주이고 지분율은 43.44%이다. 주석을 보면 올 초 무상증자를 실시해서 주식수가 증가했고, 478,695주를 소속 아티스트에게 증여해 지분율이 감소했다고 한다. 기초(2020년 1월 1일 기준) 지분율인 45.12%가..
2020 하반기 실적 우려 보고서 한 증권사에서 2020 하반기, 특히 3분기 실적 기대치에 대한 주의 보고서를 냈다. 최근 미 연준의 평균물가목표제(AIT) 채택, 국내 주식시장에서의 공매도 금지 6개월 연장 등 여러 긍정적인 소식에 찬물을 끼얹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조금은 주의를 하자는 취지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상반기를 잘 대응한 증권사의 하반기 시장 전망 아직 상반기가 진행 중이기도 하고 3월 폭락장에서의 포지셔닝 및 대응을 잘했다는 뜻으로 위와 같은 제목을 썼다. 물론 예측이나 대응을 한 번 잘했다고 해서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보장은 ��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이미 과거에 비슷한 내용을 작성한 적이 있는데 오늘 이베스트 투자증권에서 2분기 실적 리뷰 및 다시 한 번 하반..
[영풍정밀] 시가총액보다 높은 고려아연, 영풍의 지분 가치 영풍정밀은 산업용 펌프와 유체, 기체, 분체의 이송배관에 사용되는 밸브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사진 출처-유진투자증권 보고서) 주요 고객사는 국내 건설, 화학, 정유업체들인데, 이들 업황에 따른 영풍정밀의 본업 성장성은 크게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그럼에도 영풍정밀을 공부해 볼 가치가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영풍정밀이 보유하고 있는 고려아연, 영풍의 지분 가치 영풍정밀의 2분기 보고서 기준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영풍의 지분가치는 약 370억 원, 고려아연의 지분가치는 약 980억 원이다. 영풍정밀은 고려아연의 지분을 1.56%, 295,110주를 보유하고 있다. 8월 28일 종가 기준 고려아연의 주가는 398,500원이므로 영풍정밀의 지분 가치는 약 1,100억 원이다. 영풍..
[삼양식품]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의 숨겨진 피해 기업(?) 삼양식품은 면류, 스낵류, 유제품, 조미소재류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업으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불닭볶음면과 삼양라면이 있다. 삼양식품은 다른 음식료 업체들처럼 1분기에 이어 2분기 역시 시장의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삼양식품의 미래 실적보다 HDC현대산업개발(이하 HDC현산)의 아시아나 인수 결과에 더 관심을 갖는 듯하다. 먼저 삼양식품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삼양식품의 매출 비중을 보면 스낵, 소스, 유제품 등의 비중은 굉장히 낮고, 대부분의 매출은 면류(90%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분기 매출액이 소폭 늘었지만, 해외에서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를 해 삼양식품 2분기 실적을 이끌었다. 1분기를 포..
[우양] 국내 핫도그 시장점유율 1위 업체 우양은 HMR(냉동핫도그, 치즈볼 등), 음료베이스, 퓨레 등의 식품제조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그 중 주력제품인 냉동핫도그는 우양 전체 매출의 약 40%를 차지하고, 국내 핫도그 M/S(시장점유율) 50%를 차지하고 있다. OEM/ODM 방식으로 냉동핫도그를 납품하는데 주요고객은 CJ제일제당, 풀무원이다. 또한 스타벅스, 이디야, 할리스 등에는 음료베이스, 퓨레 등 식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우양의 현재 시가총액(주가 5,200원 기준)은 약 670억 원인데, 몇 증권사에서 이 기업을 커버하고 있다. 2분기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는 아니지만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었다. 재무제표는 과거의 숫자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성장이 더 중요한데, 일부 증권사들이 우양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해외수출..
[음식료] 2020 상반기 review, 하반기 preview 음식료 업체들 대부분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탄탄한 실적을 내며 하반기 및 내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물론 2020년 상반기는 코로나19의 영향이 더해져, 그 이후의 실적에 대한 우려 역시 존재한다. 이에 따라 투자 참고용으로 어제 발간된 이베스트투자증권 심지현 애널리스트의 산업분석 보고서를 간단하게 요약하려고 한다. 한 애널리스트의 의견이기 때문에 이는 참고만 하고, 변해가는 상황과 자료 위주로 보면 될 것 같다. -2020 상반기 review 국내 음식료 시장은 성숙기를 지나 완숙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내수 시장에 대한 전략과 해외 시장에 대한 전략 2가지가 필요했는데, 전자의 경우 온라인 채널 확장 혹은 신제품 히트, 후자의 경우 해외사업..
[롯데관광개발] 호재를 앞두고 상장폐지 위기(?) 롯데관광개발은 여행 관련 패키지 상품 및 전문상품, 그리고 유학 및 어학연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다. 현재는 거래정지 상태에 있고, 가장 최근 공시를 보면 그 이유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이다. 시가총액 1조 3,000억 원 정도의 기업에게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일까? 이 사례를 통해 기업의 상장폐지 요건을 알아보려고 한다. 롯데관광개발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속해 있는 기업이다. 그리고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 기준(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48조)에 '분기 매출액 5억 원 미달'이 있다. 물론 코스피 기업이 특정 분기에 매출액을 5억 원 미만으로 달성했다고 무조건 상장폐지 당하지는 않는다.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통해 그 사유가 무엇인지, 기업이 계속 영업을 할 수 있는지..
세계적 투자자들의 코로나19 이후 포트폴리오 구루(Guru)는 어떤 분야의 전문가, 대가를 지칭하는 단어다. 주식 투자를 포함한 투자 부문에서 워런 버핏, 레이 달리오, 켄 피셔 등이 구루라 불리는데, 자신만의 투자 철학으로 장기간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13F라는 규정에 따라 운용 자산 1억 달러 이상인 미국 투자기관들이 분기별로 자산 내역을 45일 이내로 공시하도록 하는데, 교보증권에서 이를 간략하게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들의 코로나19 이후 포트폴리오 변화를 참고하면 투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로 공시에는 해외 자산 및 실물 채권 등은 반영되지 않는다. 먼저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다. 다른 투자 기관과 비교 시 편입 종목 수는 적다. (44개)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