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하나금융그룹] 2021 부자와 대중부유층 보고서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부자 및 대중부유층에 대한 보고서를 냈다. 부자는 가구 기준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보유, 대중부유층은 가구 기준 금융자산 1~10억 원 보유로 정의를 내렸다. 조사기간은 2020년 12월, 조사 인원은 부자 700명, 대중부유층 1,400명이다. 개인적으로는 가구별 포트폴리오가 다르기 때문에 자산형태 상관없이 순자산 기준으로 구분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한다. 이 보고서 기준이면 다른 자산이 하나도 없어도 금융자산을 10억 원 보유하고 있다면 부자, 금융자산 1억 원에 부동산 50억 원 보유라면 대중부유층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실제 아래에서 소개할 부자와 대중부유층 사이 포트폴리오가 차이난다. 보고서에서 대중부유층을 준부자(Semi-Rich)라 칭했으니, 중상층 정도로 판단하면 ..
[대신증권] 배당수익률과 오피스텔 수익률 비교 최근 대신증권이 공시를 통해 보통주 8.6%, 우선주 10.9%의 배당을 발표했다. 이는 시가배당률 기준이며, 전일 종가 기준 보통주 15,050 대비 8%, 우선주 11,300원 대비 11%의 배당수익률이 나온다. 과거 몇 년 간을 기준으로 같은 금액을 대신증권 우선주와 소형 오피스텔에 투자한 경우를 비교해 보았다. 각종 세금, 대출 여부 등은 감안하지 않은 단순 비교다. 부동산 중 오피스텔 투자는 시세차익보다 임대수익 목적이 더 크기 때문에 보통주 대신 우선주와 비교하였다. "제로금리 시대" 소형 오피스텔 ‘e편한세상 시티 부평역’ 분양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최근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큰 모습이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역대 최저 수준의 제로금리시대를 맞이한 ..
[단도투자] 2021 지분 공시 기업은 어디일까? (feat. 모니시 파브라이) 모니시 파브라이(Mohnish Pabrai)는 '단도투자'로 유명한 인도계 미국인 가치투자자다. 단도(Dhandho)는 인도의 구자라티 말로 '부를 창출하는 능력'을 뜻한다. 부를 창출하는 능력을 주식 투자에 접목시킨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책에서 소개하는 단도투자의 9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사업에 투자하라 2. 단순한 사업에 투자하라 3. 고전하는 분야의 고전하는 사업에 투자하라 4.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춘 사업에 투자하라 5. 적은 종목에 적은 횟수로 많이(크게) 투자하라 6. 아비트리지(Arbitrage, 차익거래)에 초점을 두고 투자하라 7. 내재가치보다 훨씬 싸게 매입하라 8. 위험이 적고, 불확실성이 높은 곳에 투자하라 9. 혁신 사업보다 모방 사업에 투자하라 고전하고 있는 기존..
[빅데이터] 2021 서울 부동산은 고평가 영역에 있을까? 김기원 데이터노우즈 대표의 부릿지 출연 영상. 수학과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김기원 대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을 분석한다. 부동산은 오늘 매수했다가 내일 매도하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적인 시선에서 2021 현재 부동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참고하면 되겠다. 김기원 대표가 수많은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뽑은 3가지 유의미한 데이터는 전세, 소득, 물가 대비 저평가 인덱스다. 전세대비 저평가지수는 단순히 전세가를 매매가로 나눈 것과 다르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의 경우 언제 매수를 했어야 했는지 명확히 나온다. 2016년 초중반이 전세가 대비 매매가가 가장 저평가 된 시기였다. 김기원 대표는 객관적인 데이터로 봤을 때 현재 고평가 영역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서, 코로나19로..
[KB주택가격동향] 최초 서울 평균 주택가격 8억 원 돌파! 2021년 2월 서울의 평균 주택가격이 최초로 8억 원을 돌파했다. (서울-종합 기준) 이는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 가격이다.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아파트에 한정하면, 전국 평균 4억 7,094만원, 서울 10억 8,192만원, 강북 8억 4,914만원, 강남 12억 8,650억 원이다. 전국 평균 전세가격은 2억 5,663만원, 서울 4억 4,522만원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대상평균 전세가격은 전국 3억 10만원, 서울 5억 9,829만원, 강북 4억 8,239만원, 강남 7억 16만원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6억 원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이를 넘을지 지켜봐야한다.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전국 기준 69..
[한독크린텍]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도 고객사로!? 컨센서스에는 약간 못 미치는 잠정실적을 발표했지만, 코로나19 와중에도 한독크린텍은 성장하였다. 꾸준히 성장하는 한독크린텍의 실적이 2021년에도 지속될 수 있을까? 한독크린텍은 1989년 국내 최초로 모든 정수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카본블록 필터 압축기술을 개발해 이를 생산, 납품하는 사업을 한다. 공기청정기용 에어필터의 매출도 있지만, 매출의 97%가 정수기 관련이므로 '정수기용 카본 필터 전문 생산업체'라 보면 되겠다. 주요 고객은 코웨이, 쿠쿠홈시스, LG전자, SK매직 등이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정수기'를 신규 론칭할 예정인데, 물 데이터를 자동으로 파악해 필터 교체 시기를 소비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LG전자의 경우 렌탈 시장에 뒤늦게 뛰어 들었지만, 선호되는 브랜..
[2] 2021 서울 랜드마크 주상복합 아파트 가격 비교 저번에 생각나는대로 올렸다가 몇 개를 빠뜨려서 기록 차원에서 추가. 동일하게 65평 내외 기준. 1. 여의도 롯데캐슬아이비 여의도에 위치한 445세대 롯데캐슬아이비 57평의 최근 실거래가는 20억 원이다. 63평의 경우 최근 실거래가가 2019.12월이기 때문에 57평 실거래를 기록했다. 2. 여의도 롯데캐슬엠파이어 역시 여의도에 위치한 406세대 롯데캐슬엠파이어의 63평 최근 실거래가는 18.6억 원이다. 여의도의 주상복합은 실거래가 기준 롯데캐슬아이비가 롯데캐슬엠파이어보다 소폭 더 높다. 또한 입지 및 이미지상 여의도는 훌륭하지만 주상복합 실거래가에 한정한다면 목동보다 크게 떨어지고, 성동구, 광진구, 송파구(잠실)의 주상복합과 비슷하거나 소폭 더 낮다. 3.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지난 기록에서 롯데캐..
[쿠쿠홀딩스] 애완동물 시장에 뛰어든 밥솥 1인자 쿠쿠홀딩스의 2020년 잠정실적.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양산업에 속해있다고 외면한 전기밥솥 사업 중심으로 코로나19 와중에도 성장을 하였다. 실적이 상승했던 작년 시장의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변동성이 컸던 올 2월 내내 상승해 전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9,000억 원, 2020 PER 9미만. 실적이 잘 나왔음에도 주가가 횡보하던 당시 약 95,000원을 기준으로 본다면, 당시 시가총액이 약 6,750억 원이었으니 2020 PER 6정도. 참고로 당기순이익이 영업이익보다 높게 나오는 이유는 정수기 렌탈 사업의 자회사 쿠쿠홈시스의 매출이 연결이 아닌 지분법 손익으로 잡히기 때문이다.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 주요 종속회사인 쿠쿠전자의 밥솥이다. 밥솥에서도 IH압력밥솥 매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