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6)
[Knight Frank] 2021 나라별 상위 1% 최소 기준 글로벌 부동산업체 Knight Frank의 '2021 부(富)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에 들어가기 위해 어느 정도의 부가 필요한지 정리되어 있다. 전 세계 기준이 아닌 국가별 기준이기 때문에, '국가별 상위 1%가 되기 위한 최소 순자산'이라고 보면 되겠다. 상위 20개국을 기준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는 17위며 그 최소 조건은 $1.2M이다. 금일 환율 기준 13.3억 원 정도를 순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자산 기준 상위 1%에 들어갈 수 있는 최소 조건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최소 조건일 뿐, 사람마다 기준이 다름에도 경제적 자유와는 괴리가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상위 17위를 기록했지만, 이탈리아(15위), 스페인(14위), 일본(13위), 대만(12위)보다 순위가..
[유경PSG자산운용] 2021 버블 판단 및 위험 요인 유경PSG자산운용 강대권 CIO의 주식 초등학교 유튜브 출연 영상. 이대호 기자가 '버블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냐고 묻자, 강대권 CIO는 '지속가능성'을 본다고 답했다. 이미 과열의 영역에 들어선 후에는 그것이 조금 더 비싼지 여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테슬라 시가총액이 800조든 1,000조든 비싼 건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수준'이 아닌 '지속가능성' 여부라는 것이다. 현재의 증시를 이끄는 대표적 요인은 유동성과 기저효과로 인한 경기 회복 기대감이다. 따라서 증시 활황이 유지되려면 이 조건들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반대로 유동성 축소 혹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경기 회복 등의 변수가 발생하면 증시가 하락할 수 있다. 과열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조건이 깨졌기..
[1] 2021 서울 랜드마크 주상복합 아파트 가격 비교 (모든 기준은 65평 내외) 1. 도곡 타워팰리스 1차 여전히 주상복합의 대명사인 타워팰리스 1차 66평의 최근 실거래가는 31.5억~36억 원이다. 특이한 건 다른 지역보다 층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저층인 3층, 5층의 경우 한 달 사이 가격이 5억 원을 넘나든다. 최근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봐도 15층이 저층은 아닌데 고층과 약 5억 원 정도 차이가 났다. 2. 서초 아크로비스타 과거 삼풍백화점 위치에 지어진, 삼풍아파트 옆에 있는 아크로비스타의 63평 최근 실거래가는 22억 원이다. 보통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일반 아파트의 같은 평수보다 좁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서 60평대로 찾아 보았는데, 서초구 한복판에 위치했음에도 평수 대비 생각보다(?) 가격이 비싸지 않은 것을 알 ..
[하나금융그룹] 40대 순자산, 노후준비율 보고서 하나금융그룹의 100년 행복연구센터에서 한 리서치 회사에 의뢰해 '생애금융보고서-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을 발간했다. 대상은 서울 및 4대 광역시 거주 40대 1,000명이고, 여기에는 관심있는 몇 가지만 기록할 예정이므로 전문을 보고 싶다면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 보면 된다. 자기자본과 부채를 합친 40대의 총자산은 평균 4.1억 원이고, 그 중 대출은 8천만원이다. 따라서 순자산은 평균 3억 3천만원이고,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3억 원 미만이 과반 이상인 51.6%, 3~5억 원은 18.3%, 5~10억 원은 18.3%, 10억 원 이상은 11.8%다. 부채 규모는 다양한데, 1억 5천만원 이상의 대출이 있는 비율은 20% 이상이며, 동시에 현재 대출이 아예 없는 비율은 그보다 많은 34%였다...
[KBS 다큐] 과거 일본 부동산 버블과의 비교 및 교훈 과거 KBS에서 제작한 일본 부동산 관련 다큐멘터리를 통해 현재 국내 부동산 시장이 과연 그 정도 수준인지, 그리고 버블이 꺼진 일본 부동산을 통한 교훈을 2가지 기록한다. 영상은 맨 아래 첨부할테니 관심 있는 분들은 보시길~ 현재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은 과열인 상태가 맞지만, 과거 일본의 버블과 비슷한 수준이냐고 묻는다면 단연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자료로도 반박할 수 있지만, KBS 다큐 영상 속 당시 일본 상황으로 충분히 반박이 가능하다. 당시 일본 시중은행들은 부동산만 보유하고 있다면 연봉 3천만원 직장인에게 30억 원을 대출해주었다. 직장인이 흔히 말하는 영끌로 신용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입 후,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저 정도의 대출을 받아 또 부동산을 샀다는 말이다. LTV, D..
[타임폴리오자산운용] 2021 지분 공시 기업들은 어디?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우선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주식초등학교 유튜브 채널에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표가 출연해 '우선주'와 관련한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 했다. 참고로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국내 1위 헤지펀드운용사로, 방송에 출연한 송성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송성엽 대표 인터뷰를 소개한 후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지분 공시 기업을 찾아보았다. 지분 12% 이상 보유 중인 '에스엘에스바이오'의 경우 코넥스 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제외했고, 작년 3월 중순 엑시콘, 4월 초 에스티큐브의 지분을 5% 이하로 줄였기 때문에 코스피, 코스닥 기준 현재 5% 이상 지분을 보유 중인 기업은 2곳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액이 급감해 상장폐지 실질심사까지 겪었던 롯데관광개발의 지분을..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우선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주식초등학교 유튜브 채널에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표가 출연해 '우선주'와 관련한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 했다. 참고로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국내 1위 헤지펀드운용사로, 방송에 출연한 송성엽 대표는 KB자산운용 출신의 공모펀드 전문가다. 그가 우선주를 눈여겨 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특히, 보통주보다 배당을 더 많이 주는 우선주 특성상 가치주 펀드가 이들을 선호하는데, 성과 부진 및 직접 투자 열풍으로 가치주 펀드에 대한 지속 환매 요청이 들어오고, 이것이 우선주의 수급을 더욱 악화시킨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가치주 펀드서 돈 빼는 투자자들…2년새 설정액 `반토막` 8조서 3.9조로 쪼그라들어 www.mk.co.kr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우선주의 장점은 보통주보다 높은..
[유현준]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는 건축가 겸 교수 (feat. 집코노미) 오늘 유현준 건축가 겸 홍익대 교수의 정부 부동산 비판 영상을 보았다. 이분은 하버드와 MIT에서 건축설계를 공부했는데, 영상에서 역사 및 본인 경험을 토대로 10분간 정책 비판 및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2030은 임대주택 위주의 공급을 주장하는 정치인에 반기를 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청년 임대주택 정책 대규모 공급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하는데, 그것은 청년들을(혹은 무주택자들을) 소작농으로 전락시키는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그거 진짜 나쁜 XX들이라고 분노한다. 정부와 국토부, 여당을 향한 분노가 느껴진다 ㅎㅎ 정부가 2~3%대의 경제 성장을 유지한다고 하면서 부동산 가격을 하락시키겠다고 하는 건 모순이라고 지적한다.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주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는 사실이다. 그렇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