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ch Seoul(서울 부자): 서울 거주 and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and 만 30세 이상으로 정의
-300명 대상(40대 이하 18.7%, 50대 32.3%, 60대 이상 49%)
-금융자산 규모별 실제 표본: 10~20억 원 49.7%, 20~30억 원 26.7%, 30~50억 원 17%, 50억 원 이상 6.7%
-총자산 67억 9,041만 원
-순자산 61억 9,033만 원(임대보증금 및 금융부채 6억 7만 원)
-자산구성 비중: 부동산 59.3%(약 42억 원), 금융자산 36%(약 23억 원), 실물자산 4.7%(약 3억 원)
-총자산이 많을수록 부동산 비중이 높음
-대출을 보유한 경우도 부동산 비중이 높은데, 보유 대출의 99.1%가 부동산 담보 대출
-연평균 소득 3억 2,604만 원
-비중: 사업소득 58.7%, 부동산 임대소득 14.6%, 근로소득 14.1%, 금융소득 8.3%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경우 근로소득 비중 64.3%, 사업소득 18.1%, 자산 소득 6.6%)
-평균 시드머니 7억 5,412만 원, 중간값은 3억 원
-원천: 사업소득 37%, 근로소득 24%, 증여 및 상속 24% (응답자의 81.7%는 2가지 이상 원천을 활용)
-시드머니 대비 현재 약 33.1배 자산을 증식함
(10~50억 원: 17.9배, 50~70억 원 38.2배, 70~100억 원 40.3배, 100억 원 이상 46.9배)
-서울 부자 요건인 금융자산 10억 원 달성 시기는 평균 46세
(40대 평균 37.9세, 50대 45.6세, 60대 49.4세에 금융자산 10억 원 달성)
-금융자산 10억 원 원천: 사업소득 61.3%, 부동산 투자 44%, 증여 및 상속 34%
-첫 부동산 취득 시기는 평균 38세
(증여 및 상속 35.9세, 청약 및 분양 37.1세, 매매 38.7세, 경매 46.3세)
-시기적으로 호황기(연평균 7.7명)보다 불황기(연평균 8.3명)에 취득한 경우가 더 많음
-생애 최대 달성 가능 자산은 평균 95.1억 원(현재 대비 +27.2억 원)
-예상 원천: 사업소득 47.3%, 부동산 투자 34.7%, 금융투자 5.7%, 근로소득 5.7%, 증여 및 상속 4%
[NH투자증권]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2022년 4월 발행한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 기초통계는 2021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대상은 총 18,187건의 데이터 중 상위 1%인 182건, 조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 Korean Wealth Report
-부자: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의 보유자(가구 기준) -대중 부유층: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자산 1~10억 원 미만 보유자(가구 기준) -일반 대중: 금융 회사와 거래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Credit Suisse] 2022 세계 부(富) 보고서 (Global Wealth Report)
국제 투자은행 크레디트 스위스(Credit Suisse)의 '2022 글로벌 자산 보고서' 중 일부. 2021년 성인 1인당 자산은 8.4% 증가한 $87,489. *현재 환율 1,394.5원 적용 시 1억 2,200만 원. 작년 보고서(2020년) 당시 1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Knight Frank] 2021 나라별 상위 1% 최소 기준
글로벌 부동산업체 Knight Frank의 '2021 부(富)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에 들어가기 위해 어느 정도의 부가 필요한지 정리되어 있다. 전 세계 기준이 아닌 국가별 기준이기 때문에, '국가별 상위 1%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통계청] MZ세대 상위 20%의 자산은 얼마일까?
MZ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의 M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의 Z세대를 통칭하는 말. 일부에서는 1980~1995년생이 M세대, 1996~2010년생이 Z세대라고도 한다. MZ세대의 2020년 자산 및 소득 통계는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청, 한국은행] 고령층의 소득 격차와 상대적 빈곤율 (8) | 2023.07.01 |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2022 대중부유층 자산 실태 조사 (6) | 2022.12.08 |
[통계청] 2022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2) | 2022.12.07 |
[KB경영연구소] 2022 한국 부자 보고서 (5) | 2022.12.04 |
[통계청] 2022 가계금융복지조사 (자산, 소득, 부채, 노후준비) (6)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