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305)
[한국금융지주우] 이게 M자(쌍봉)형 차트의 예시? 주말에 본 헤드앤숄더, M자(쌍봉)형 차트 영상. 먼저 헤드앤숄더 차트는 상승 추세에서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그어봤을 때 그것을 이탈한 후 재반등시 다시 추세선 위로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을 함께 보는 게 더 도움된다고 한다. 컴투스 사례를 보면, 빨간 추세선을 이탈한 후 재반등 시도, 추세선 회복 못한 채 이동평균선도 이탈. 그 후 주가는 쭉 빠진다. 다음은 M자형 차트. 고점이 3개인 헤드앤숄더와는 다르게 M자형은 알파벳 모양처럼 기준선 위로 고점이 2개. 두번째 고점이 첫번째 고점을 넘지 못한 상태에서 추세선을 이탈하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영상을 보면서 상반기 투자했던 기업이 떠올랐는데, 이게 M자형 차트에 해당되는 건가? 1. 두번째 고점이 첫번째 고점을 넘어서지 못..
[대신증권] 나인원한남 분양 완판, 특별배당 가능할까? 작년 코로나19 급락장 당시 상당수의 증권사가 적자를 기록한 후 꾸준히 우상향하는 실적을 보여준 반면 대신증권은 특이하게 작년 2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올초 정리한 내용에 더해 분양완판 소식 추가. [대신증권] '나인원한남'이 끌어올린 주가 (feat. 지드래곤, 장윤정) 기술주에 비하면 상승폭이 작지만 코로나19 급락 장 이후 꾸준히 상승한 대신증권. 어제 증권주 중 유일하게 6%대의 큰 상승을 하였는데, 무슨 호재가 있었을까? 대신증권 계열사 '대신에프앤아 for-economicfreedom.tistory.com 4년간 월세로 살다가 최초 분양가로 매입할 수 있게 한 나인원한남이 재산세 및 종부세 급증으로 대신증권에게 골치거리가 된 것이 그 이유. 400억 원대의 세금이 부담스러워 조기 분양을 진행하..
[카카오뱅크] '은행'과 '플랫폼'의 양극단 밸류에이션 금일 올라온 이리온의 카카오뱅크 관련 영상, 밸류에이션 부분만 따로 정리. 1. 기존 금융주 상장되어 있는 기존 금융주 관점에서는 ROE-PBR이든 PER이든 설명이 안됨. 예상 ROE를 2030년 15%라 가정해도 PBR이 4~5수준, PER기준 역시 10년 뒤 예상 실적 대비 15수준. 올해 예상 실적 기준 PER는 146으로 어느 금융주와도 비교 불가. 2. 해외 인터넷은행 금융주 중 그나마 비교해 볼 수 있는 2001년 설립된 일본 세븐뱅크(Seven Bank, 인터넷전문은행) 참고. 세븐뱅크는 편의점 내 ATM을 고객채널 접점으로 활용하여 금융 플랫폼 방식의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음. 수익성 본격 개선시기인 2013~2015년 ROE는 15% 근처, PBR 3 근처의 가격 형성. 카카오뱅크 역시..
[유신] 본업 턴+신규 매출+대북 테마 3박자 금일 유신의 주가는 8% 이상 상승했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 700억 원을 돌파했는데, 400억 원대부터 이 기업을 소개한 분이 있다. VIP자산운용 출신의 이건규 르네상스자산운용 대표가 올 3월 한 유튜브에 출연한 영상~ 4:00부터 보면 설계, 감리 사업을 하는 400억 원대의 회사를 소개한다. 합리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는 분이 Compliance 규정 때문에 (특히) 소형주 언급을 우회적으로 한다면 시간을 들여서라도 찾아볼 필요가 있다. 당시 영상을 저장해놓고 잊고 있다가 며칠 뒤에 다시 보는 바람에 시가총액 범위를 더 넓게 적용했다. '네이버 금융'에 들어가 '국내증시', '시가총액'을 선택하면 삼성전자부터 쭉 나온다. 시가총액 400억 원 정도로 맞춘다음 며칠 간 주가가 움직였을테니 500억 원..
[배당주] 봄, 여름에 매수해서 겨울에 매도해볼까? 미래에셋증권의 '차별화 장세에서 살아남는 2021 하반기 전략' 보고서 내용 중 일부. 2016~2020년 약세였던 배당주들의 성과가 개선되어 하반기에 필수로 편입을 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망으로는 '금융' 비중이 높은 코스피고배당50 지수가 가장 긍정적이라고 한다. 올해 예상되는 배당수익률은 위와 같다. 배당성향 20% 가정 시 배당수익률 약 1.8%, 30% 가정 시 약 2.7% 정도. 코스피 전체 기업 기준이고, 개인적으로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증권주는 이와는 차원이 다르다. 배당성향 13%면 위 기준 배당수익률이 1.5%도 못 나올텐데, DB금융투자 작년 시가배당률은 6% 이상. [메리츠증권] 자사주 매입에 이어 소각까지? (VS. DB금융투자) 어제(3/18) 메리츠증권의 1천억 원 규모 ..
테이퍼링(Tapering)에 대응하는 최고의 투자전략 과거 한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최고의 투자전략' 보고서. 한줄로 요약하면 'Do Nothing and Stay in the Market'. 보유한 기업, 매수한 주가 수준 등 차이는 있겠지만 잘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유지하자는 내용이다. 초록 부분이 대부분 투자자들의 매수 구간, 빨간 부분이 매도 구간이다. 9/11테러,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는 Nervous, Panic의 상태로 매도를 하고 IT버블, 부동산 버블 때는 Positive, Euphoric의 상태로 매수를 하는 경향이 있다. 테이퍼 텐트럼(Tantrum, 발작)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진 후 매도를 한다면 이는 빨간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어떤 특정 이벤트를 무시하고 무직하게 투자했을 경우 성과는 위와 같았다. 그렇다면 과거 한 차..
[한국기업평가] 단도투자 모니시 파브라이가 극찬할(?) 기업 단도투자로 유명한 모니시 파브라이(Mohnish Pabrai)는 버핏의 말을 인용해 '바보도 운영할 수 있는 회사'가 투자하기에 좋다고 언급한다. 그런 회사의 경우 경제적 해자 및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시즈캔디, 코카콜라, 무디스, 비자,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이 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Moody's, Standard & Poor's, Fitch는 경제적 해자를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런 사업 모델을 가진 기업들은 각 나라별로 있을 텐데 S&P가 인도 1위 신용평가기관의 지분을 보유한 것을 언급하며 지인의 투자 사례를 소개한다. 이 예시를 듣자마자 떠오른 국내 기업~ S&P가 인도 신용평가기관의 지분을 보유한 것처럼 Fitch 역시 국내 상..
[한국금융지주] 카카오뱅크 없이도 설명되는 시가총액 한국금융지주의 1Q21 영업이익은 4,850억 원, 지배주주순이익은 4,180억 원.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컨센서스를 뛰어넘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록! 한국금융지주가 100% 소유하고 있는 한국투자증권의 실적은 증권사 1위. 몇 증권사에서 평가하는 한국금융지주 내용 정리~ 대신증권에서 각 사업부별 수익을 설명해준다. 국내 및 해외 브로커리지, 자산관리, IB, 트레이딩 전 부문에서 고르게 수익을 창출해냈다. SK증권 역시 전 부문 고른 성장을 언급하며 QoQ 거래대금 감소 불구, 연간 실적 우수를 예상했다. 이 부분은 4월 거래대금을 YoY 비교하며 작성했던 내용인데 QoQ 모멘텀은 약화될 수 있어도 하락한 수준이 작년보단 높고 작년 급증한 거래대금 수준은 지난 10년 평균의 2배 이상인 것을 감안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