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

(67)
김현미 전 국토부 장관 아파트 공시지가 현실화율 후임인 변창흠 현 국토교통부 장관에 이어 김현미 전 장관의 아파트 공시지가 현실화율은 어떤지 궁금해졌다. 김현미 전 장관이 몇 평에 거주하는지는 모르기 때문에, 가장 최근 실거래 기준 동일 층, 동일 면적의 공시지가 현실화율을 찾아보았다. 공급 면적 152.51m2, 전용면적 124.87m2의 최근 실거래가는 7.5억, 금일 발표된 동일 층, 동일 면적의 공시지가는 3.67억 원이다. 공시지가 현실화율은 3.67/7.5*100=49%. 변창흠 현 국토부 장관이 거주하는 아파트 공시지가 현실화율과 비슷하다. 공시지가 산정 기준일은 2021.1.1이고, 등록된 최근 실거래는 2021.1.20 이기 때문일까? 다른 아파트들은 안 그런가? 약 한 달 전인 12월 동일 평수의 실거래가 6.1억 원을 적용해도 공시..
변창흠 국토부 장관 아파트 공시지가 현실화율 실거래가 45% 오른 세종시…공시가격 70% 상승 [앵커] 올해 전국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14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세종시의 경우 무려 70%가... news.kbs.co.kr 정부가 계획한대로 2030년까지 공시지가 현실화율을 시세의 90%까지 단계적으로 올리는데, 올해의 현실화율은 약 70%.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의 아파트 현실화율은 어떨까? 평균적인 70% 수준일까? 공개되어 있는 변창흠 국토부 장관의 거주지인 방배동 현대오페라하우스의 최근 실거래가는 14.8억 원이다. 전용면적 118m2로 35평, 변창흠 장관 소유 아파트와는 다른 평수다. 금일 발표된 공시지가를 확인해보니 6.9억 원이다. 올해 공시지가 현실화율 70%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46.6% 수준이다. 변창흠 국토부 ..
[KBS 다큐] 과거 대한민국 (서울) 부동산 시장의 교훈 유튜브에서 본 KBS의 대한민국 부동산 관련 다큐멘터리. 2005년 제작된 것을 최근 다시 방영을 하는 걸 보니, 상승 후 하락했던 과거의 교훈을 알리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 급등 후 급락이 오는 것은 부동산시장에서만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현재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과열 혹은 버블인 상태에는 동의를 하지만, 그렇다고 장기 폭락론자가 되는 우를 범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KBS 다큐를 기준으로 알 수 있는 사실 몇 가지만 기록하자면,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핵심 지역 부동산 가격은 장기 우상향을 한다는 것. 다큐 제목처럼 '아파트 거품 200조를 어떻게 빼야 할까?' 혹은 '부동산 가격은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하락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경제가 고꾸라져야 한다'와 비슷한 수준의 주장임을 알아야 한다..
[빅데이터] 2021 서울 부동산은 고평가 영역에 있을까? 김기원 데이터노우즈 대표의 부릿지 출연 영상. 수학과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김기원 대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을 분석한다. 부동산은 오늘 매수했다가 내일 매도하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적인 시선에서 2021 현재 부동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참고하면 되겠다. 김기원 대표가 수많은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뽑은 3가지 유의미한 데이터는 전세, 소득, 물가 대비 저평가 인덱스다. 전세대비 저평가지수는 단순히 전세가를 매매가로 나눈 것과 다르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의 경우 언제 매수를 했어야 했는지 명확히 나온다. 2016년 초중반이 전세가 대비 매매가가 가장 저평가 된 시기였다. 김기원 대표는 객관적인 데이터로 봤을 때 현재 고평가 영역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서, 코로나19로..
[KB주택가격동향] 최초 서울 평균 주택가격 8억 원 돌파! 2021년 2월 서울의 평균 주택가격이 최초로 8억 원을 돌파했다. (서울-종합 기준) 이는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 가격이다.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아파트에 한정하면, 전국 평균 4억 7,094만원, 서울 10억 8,192만원, 강북 8억 4,914만원, 강남 12억 8,650억 원이다. 전국 평균 전세가격은 2억 5,663만원, 서울 4억 4,522만원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대상평균 전세가격은 전국 3억 10만원, 서울 5억 9,829만원, 강북 4억 8,239만원, 강남 7억 16만원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6억 원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이를 넘을지 지켜봐야한다.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전국 기준 69..
[2] 2021 서울 랜드마크 주상복합 아파트 가격 비교 저번에 생각나는대로 올렸다가 몇 개를 빠뜨려서 기록 차원에서 추가. 동일하게 65평 내외 기준. 1. 여의도 롯데캐슬아이비 여의도에 위치한 445세대 롯데캐슬아이비 57평의 최근 실거래가는 20억 원이다. 63평의 경우 최근 실거래가가 2019.12월이기 때문에 57평 실거래를 기록했다. 2. 여의도 롯데캐슬엠파이어 역시 여의도에 위치한 406세대 롯데캐슬엠파이어의 63평 최근 실거래가는 18.6억 원이다. 여의도의 주상복합은 실거래가 기준 롯데캐슬아이비가 롯데캐슬엠파이어보다 소폭 더 높다. 또한 입지 및 이미지상 여의도는 훌륭하지만 주상복합 실거래가에 한정한다면 목동보다 크게 떨어지고, 성동구, 광진구, 송파구(잠실)의 주상복합과 비슷하거나 소폭 더 낮다. 3.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지난 기록에서 롯데캐..
[1] 2021 서울 랜드마크 주상복합 아파트 가격 비교 (모든 기준은 65평 내외) 1. 도곡 타워팰리스 1차 여전히 주상복합의 대명사인 타워팰리스 1차 66평의 최근 실거래가는 31.5억~36억 원이다. 특이한 건 다른 지역보다 층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저층인 3층, 5층의 경우 한 달 사이 가격이 5억 원을 넘나든다. 최근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봐도 15층이 저층은 아닌데 고층과 약 5억 원 정도 차이가 났다. 2. 서초 아크로비스타 과거 삼풍백화점 위치에 지어진, 삼풍아파트 옆에 있는 아크로비스타의 63평 최근 실거래가는 22억 원이다. 보통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일반 아파트의 같은 평수보다 좁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서 60평대로 찾아 보았는데, 서초구 한복판에 위치했음에도 평수 대비 생각보다(?) 가격이 비싸지 않은 것을 알 ..
[KBS 다큐] 과거 일본 부동산 버블과의 비교 및 교훈 과거 KBS에서 제작한 일본 부동산 관련 다큐멘터리를 통해 현재 국내 부동산 시장이 과연 그 정도 수준인지, 그리고 버블이 꺼진 일본 부동산을 통한 교훈을 2가지 기록한다. 영상은 맨 아래 첨부할테니 관심 있는 분들은 보시길~ 현재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은 과열인 상태가 맞지만, 과거 일본의 버블과 비슷한 수준이냐고 묻는다면 단연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자료로도 반박할 수 있지만, KBS 다큐 영상 속 당시 일본 상황으로 충분히 반박이 가능하다. 당시 일본 시중은행들은 부동산만 보유하고 있다면 연봉 3천만원 직장인에게 30억 원을 대출해주었다. 직장인이 흔히 말하는 영끌로 신용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입 후,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저 정도의 대출을 받아 또 부동산을 샀다는 말이다. LTV, D..